디렉토리분류

공장새마을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0725
한자 工場-運動
영어음역 Gongjangsaemaeurundong
영어의미역 The New Factory Move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온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서 1970년대에 생산 현장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던 정부주도의 국민운동.

[개설]

제3공화국은 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촌 근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적극적으로 계도하는 정부 주도의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이에 공장새마을운동의 모체가 되는 새마을운동이 1970년 4월 22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창하면서 태동하였고, 1972년 5월에는 새마을소득증대추진대회를 개최하고 ‘새마을운동은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민족의 일대 약진 운동’이라고 규정하였다.

새마을운동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농어민, 도시민, 기업가, 근로자 모두가 참여하는 거국적인 운동으로 확장되었고, 이를 토대로 1973년 10월 수출 진흥확대회의에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 구상을 발표하여 생산 현장에서 독자적 프로그램으로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변천]

1974년 2월 공장새마을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공장새마을 중앙위원회를 설치하였고, 이듬해 공장새마을 서울연수원을 개원하였다. 1977년 3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장새마을운동 추진본부를 발족하여 독자적이면서도 민간 주도적인 체제를 확립하여 52개 지방 상공회의소, 4개 공업단지, 36개 대기업체 그룹 본부, 국영 기업체에 추진지부를 결성하고 전국적으로 3,901개 공장에 전담 부서가 설치되었다. 이때 구로구에 있는 많은 공장에도 전담 부서가 설치되었다.

공장새마을운동 추진본부는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 이념과 추진 계획 등을 수립하고 처음 약 10년간은 경영 합리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를 대상으로 운동을 추진하였다. 이를테면 물자 절약,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후생 복지, 에너지 절감 등을 실천하고자 비교적 정형화되지 않은 일정에 따라 대상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새마을 정신과 공장새마을운동의 이념을 구현하고 정예 지도자를 양성하여 자체 추진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새마을교육도 실시되었다. 상공부가 한전연수원을 공장새마을 제1연수원으로 지정한 데 이어 한국수출공단에 제2연수원, 여성 지도자를 위한 주안연수원, 부산연수원을 잇달아 개설하였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상공부 지정 연수원의 연수 실적은 총 47,198명이며, 이 중 기업체 대표와 임원급이 29.5%, 중간 관리층이 41.2%로 주로 기업체에서 영향력이 크고 교육 효과가 파급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중점을 두었다. 일반 직원들은 주로 8개의 민간 연수원에 위탁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21개 업체가 자체 부설연수원을 설립하여 별도의 새마을교육 과정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1970년대의 공장새마을운동 총 교육 실적은 무려 25만 4456명에 이르렀다.

1983년에 상공부와 공장새마을운동 추진본부가 공동으로 다음과 같은 ‘공장새마을운동 추진 지침’을 제시하였다. 첫째, 주인 의식 고취로 새로운 생산적 가치관을 확립한다. 둘째, 노사 협조를 통한 공동 운영체를 확립한다. 셋째, 한국적 기업 풍토 조성으로 경영 합리화를 촉진한다. 넷째, 경제 부국을 위한 산업 운동으로서의 행동철학을 개발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천 목표로 첫째, 노사 협동을 통한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및 경영 성과 극대화, 둘째, 한국적 경영 합리화를 통한 기업 체질 강화, 셋째, 사원의 복리 증진과 기업의 영속적 발전, 넷째 기업 경영을 통한 국가 산업 경제 발전의 주역으로서 복지 사회 구현 등을 규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