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527
영어음역 Dol
영어의미역 First Birthday
이칭/별칭 주년,쉬일,수일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집필자 김영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례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어린아이가 출생 후 처음 맞이하는 생일.

[개설]

돌이란 어린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이다. 이를 주년(周年) 또는 쉬일(晬日)이라고도 한다. 아기가 첫돌에 이르면 발육은 현저하게 달라진다. 사고력이 싹트고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기억력이 확실해지면서 자기 의사에 따라 행동하며, 성숙한 아이는 걷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돌잔치를 행한 기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국조보감(國朝寶鑑)』 정조(正祖) 15년 6월조(條)에 궁중에서 원자(元子)에 대한 기록이 있다. 중국의 문헌인 『합벽사류(合壁事類)』, 『안씨가훈(顔氏家訓)』, 『풍조(風操)』 등에도 쉬반(晬盤)[상에 돌잡히기]의 기록이 나오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만의 풍속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온 풍속인 것 같다. 그러나 요즘에는 일반적으로 뷔페식당을 빌려 친가 및 외가 가족은 물론 직장 동료와 지인들을 초청하여 이벤트 같은 행사를 벌인다. 구로 지역에서도 이와 같이 돌잔치를 뷔페식당에서 치른다. 특히 첫아이의 돌을 성대하게 하는데, 이때 초청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금반지 한 돈을 선물한다.

[절차]

돌을 맞이한 아이의 기념행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아기의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하는 치성을 드리며, 아기를 성장(盛裝)시키고 돌상을 차려 돌잡히기를 하고 손님을 대접하는 순으로 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치성(致誠)’이다. 아기를 점지해 준 삼신(三神)에게 감사하며, 앞으로도 무병장수하고 많은 복록을 누리도록 치성을 드린다.

오류1동 주민 하준여[여, 68]에 의하면, 돌 전날에는 절이나 만신당(萬神堂)[여자 무당이 신에게 제사지내는 곳]에 가서 치성을 드린다고 한다. 이때 무당에게 돌맞이 자녀의 명이 길게 해달라고 수양 자녀 관계를 맺기도 한다. 또한 돌날 아침 집에서 삼신상(三神床)을 차려 놓고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돌날 아침에 드리는 삼신상은 흰밥과 미역국 그리고 정화수를 상 위에 놓고 ‘삼신시루’는 상 옆에 놓는다. 이때 산모가 아닌 타인이 두 손을 비비며 치성을 드린다. 그 다음에 흰밥과 미역국은 산모가 먹고, 삼신시루의 떡은 가족끼리 먹는다. 삼신시루의 떡이 밖으로 나가면 아기의 복이 줄어든다는 속신(俗信) 때문이다. 또한 돌에 입는 돌 복은 화려하게 만들어서 입히는데, 돌장이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 입혔다. 아들의 경우에는 색동[또는 분홍이나 연두색] 저고리, 회색[또는 가지색] 바지, 분홍색 두루마기에 다홍 띠, 남색 조끼, 검은색 복건, 수놓은 누비버선, 수주머니 등을 달았다. 딸의 경우는 노란색 단속곳에 다홍색 치마, 색동저고리, 남색 배자, 수놓은 누비버선, 갖가지 노리개, 금박 조바위, 오복 주머니 등을 달았다. 남아나 여아를 막론하고 돌 주머니를 채워 주고 돌띠를 길게 해서 한 바퀴 돌려 매어 주었다. 주머니에는 수(壽)·복(福) 등의 수를 놓고 색실로 끈을 하였다. 끈에는 장식물[은도끼, 은자물통] 등을 달아 사귀(邪鬼)의 접근을 막는 의미를 담았다. 그러나 이러한 풍습은 도시화에 밀려 소비 지향적 돌잔치로 변모하였다.

[의의]

돌은 출생 후 처음 맞는 생일이므로 그 의의가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의학적 지식이 거의 없다시피 하던 시대에 아이가 돌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것은 이제 한 고비를 무사히 넘기는 계기가 되므로 큰 의의가 있었다. 또 사람이 일생을 통하여 큰상을 받는 것은 보통 첫돌 때와 혼례를 치를 때, 그리고 회갑연 때라고 한다. 첫돌 때부터 사람으로 대접을 받는다는 뜻으로 큰상을 받는 것이기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간혹 백일잔치는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돌잔치는 빈부를 막론하고 어느 가정마다 다 차려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