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000547 |
---|---|
한자 | 鄭晳 |
영어음역 | Jeong Seok |
이칭/별칭 | 백야,악남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양윤모 |
조선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야(白也), 호는 악남(岳南). 아버지는 이효준(李孝俊)이다.
1642년(인조 20) 사마시(司馬試)에 생원으로 합격하였고, 이어 1649년(인조 2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학정(學正)과 정언(正言)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어 1654년(효종 5)에 인조의 후궁인 조숙원(趙淑媛) 문제를 논하다가 영산(靈山)에 유배되었다. 2년 뒤 복관되어 정언·지평·장령(掌令) 등을 역임하였고, 1660년 6월부터 구로 지역을 관장하는 부평부사(富平府使)로 나가 지방관으로 활약하였다.
1662년(현종 3)에는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으로 문신정시(文臣庭試)에 3등으로 합격하였다. 이후 수찬(修撰)·교리(校理)·집의(執義)·응교(應敎)를 거쳐 1669년에 동래부사가 되어 왜관(倭館)을 동래부로 옮기기도 하였으나, 왜인을 잘 다스리지 못하였다는 죄로 파면되었다. 그 뒤 승지와 대사간을 거쳐 예조참판을 지냈으며, 1679년(숙종 2)에는 『명사(明史)』 가운데 잘못 기술된 인조반정 기사를 바로잡기 위하여 변무부사(辨誣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파견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