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343
한자 三一運動
영어공식명칭 The March 1st Movement
이칭/별칭 3.1독립만세운동,3.1독립운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집필자 권영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03월 25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진보장터 독립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03월 26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화목장터 독립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03월 21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면 월막리 독립만세운동 발생
종결 시기/일시 1919년 03월 25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진보장터 독립만세운동 종결
종결 시기/일시 1919년 03월 27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화목장터 독립만세운동 종결
종결 시기/일시 1919년 04월 06일연표보기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면 월막리 독립만세운동 종결
발생|시작 장소 독립만세운동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진보장터지도보기|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화목장터지도보기|청송군 청송면 월막리지도보기
종결 장소 독립만세운동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진보장터지도보기|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화목장터지도보기|청송군 청송면 월막리지도보기
성격 독립만세운동

[정의]

1919년 3월 경상북도 청송 지역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전개된 항일 독립운동.

[개설]

서울에서 비롯된 3.1운동은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려는 한민족의 독립운동이었다. 경상북도 청송 지역 인사들도 진보면, 현서면, 청송면[지금의 청송읍] 등 여러 지역에서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비록 출동한 일본 경찰들에 의해 해산되었지만 독립에 대한 청송인들의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역사적 배경]

3.1운동은 국내는 물론 국외로까지 급속히 전파되었다. 3.1운동이 이처럼 급속히 확산될 수 있었던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3.1운동의 추진체로서 종교 조직과 학생 조직의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고종의 인산(因山)에 참여하였던 지방 유생들이 서울 지역 3.1운동의 영향을 받아 그 지역 3.1운동을 지도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이웃한 다른 지역의 만세운동에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청송 지역의 3.1운동은 마지막 경우에 해당한다.

[경과]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3.1운동은 8개 면 중 청송면에서 3회, 진보면에서 1회, 현서면에서 2회 등 3개 면에서 6회 정도 일어났다. 규모는 적게는 수십 명에서 많게는 300~600명 정도였다. 청송 지역 3.1운동현서면 화목장터 3.1독립만세운동이 가장 격렬하였다.

진보면의 경우는 1919년 3월 25일 오후 2시경, 진안리 진보장터에서 권태원(權泰源)의 주도로 300여 명의 군중이 모여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현서면의 경우는 3월 26일 오후 1시경, 구산리 화목장터에서 조현욱(趙炫郁), 신태휴(申泰烋) 등을 중심으로 격문을 돌리며 군중을 규합하여 수백 명의 군중을 이끌고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이튿날 3월 27일에도 다시 화목장터에서 조병국(趙柄國)의 주도로 군중 수백 명이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곳 만세운동은 일본 경찰의 총격에 의한 부상자를 내면서 오후 6시경 종결되었다.

청송면의 경우는 3월 21일 오후 2시경 청송면 월막리 군청 앞에서 수백 명이 모여 만세운동을 일으켰으나,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또 3월 25일 오후 8시경 월막리 뒷산에서 봉화를 올려 각 면에 신호를 보내며 횃불을 들고 만세를 불렀고, 그 뒤 4월 6일에도 대규모의 만세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청송면의 만세운동은 자료의 부족으로 내용이 자세하지 않다.

[결과]

청송 지역의 3.1운동은 1919년 3월 21일부터 3월 27일 사이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는 전국적으로도 3.1운동의 절정기에 해당되는 시기였다. 청송 지역의 만세운동은 군중들이 질서를 지키면서 평화적으로 전개하였으나, 일본 경찰의 총격에 의한 탄압으로 강제 해산되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부상자 4명과 함께 수십 명이 구속되었고, 권태원, 조현욱, 신태휴, 조병국, 이형(李瀅) 등 5명은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또한 현서면 구산리에서 만세운동을 사전에 준비하다 잡힌 김기수(金基洙)는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다.

[의의와 평가]

청송 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은 이웃한 안동과 영덕 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일부 인사들은 이미 3월 10일경부터 움직이고 있었다. 3.1운동은 민족자결주의(民族自決主義)라는 국제 사조에 힘입어 일제의 무단통치에 정면으로 대항한 거족적인 독립운동이었다. 청송 지역의 3.1운동 역시 국권회복이란 민족적 과제를 함께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