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물 일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372
한자 靑松普光寺極樂殿石造阿彌陀如來三尊佛坐像-腹藏物一括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현충로 51-352[덕리 42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8월 26일연표보기 -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물 일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물 일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보광사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현충로 51-352[덕리 429]지도보기
복장 유물 소장처 은해사 성보박물관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치일리 479]
성격 불상
재질 목조
크기(높이) 본존불 97㎝[목조아미타여래좌상]|84㎝[관음보살좌상]|84㎝[대세지보살좌상]
소유자 보광사
관리자 보광사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덕리 보광사 극락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상.

[개설]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목조 불상으로, 삼존불의 형태로 봉안되어 있다. 불상의 제작 시기는 조선 후기로 추정된다.

[형태]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불단 중앙에 본존불(本尊佛)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을 봉안하고 좌우에 협시불(脇侍佛)로 관음보살좌상(觀音菩薩坐像)과 대세지보살좌상(大勢至菩薩坐像)을 각각 배치하였다. 감실(龕室)은 없고 삼단 형태의 높은 목조 대좌(臺座) 위에 봉안되어 있다. 본존불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가 97㎝, 무릎너비 64㎝, 어깨너비 39㎝이다. 좌측 관음보살좌상의 높이는 84㎝, 어깨너비는 48㎝이며, 우측 대세지보살좌상은 높이가 84㎝, 무릎너비 60㎝, 어깨너비 49㎝이다.

[특징]

본존불은 두꺼운 통견(通肩)의 법의(法衣)와 가슴 앞에 있는 엄액의, 그리고 각진 얼굴과 체구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이며 청송군 일대 사찰의 불상과 동일한 형식이다. 인근 청송 대전사 보광전 석조여래삼존상보다 제작 시기가 다소 뒤처지나 표현 방법에 있어 조선 후기 불상 형식이 잘 나타나고 있다. 협시불은 두꺼운 통견의 법의와 엄액의(掩腋衣)의 모습, 각진 얼굴의 엄숙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엄지손가락이 잘린 듯 표현되었고, 보관(寶冠) 아래까지 머리가 내려온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2017년 복장유물 발굴조사를 통해 발기문과 두 책으로 나눈 금강경 필사본 등이 발굴되었다. 발굴된 복장유물은 보광사의 본사인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이관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조만간 삼존불 개금불사도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의의와 평가]

발굴된 발기문과 같은 복장유물에 대한 분석이 나오면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조성 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질 뿐만 아니라, 보광사의 내력이나 불교 문화에 대한 새로운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물 일괄이 2019년 8월 26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