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525 |
---|---|
한자 | 水洛里林龍相生家址 |
이칭/별칭 | 수락리 임용상 생가터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수락리 496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박재관 |
훼손 시기/일시 | 1950년 - 수락리 임용상 생가지 6.25전쟁으로 소실 |
---|---|
현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수락리 496 |
성격 | 생가지|생가터 |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수락리에 있는 개항기 의병장 임용상이 태어난 집터.
[개설]
수락리 임용상 생가지는 일제의 침탈에 대항하여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독립유공자 임용상(林龍相)[1877~1954]이 태어난 집터이다. 임용상의 자는 충서(忠瑞), 호는 중호(中虎)이다. 을사늑약 체결 후 영덕군(盈德郡) 청련사(靑蓮寺)에서 의병을 모아 동해창의군(東海倡義軍)을 조직하고, 대장으로 추대되어 영덕, 청하(淸河), 강구(江口)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산남의진(山南義陣)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09년 6월 울산(蔚山), 언양(彦陽), 양산(梁山)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10년 출옥하였다. 출옥 후 산남의진을 재정비하고 청송, 의성(義城) 등지에서 일본군 수비대를 공격하였으나, 다시 체포되어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건립 경위]
현재 6.25전쟁으로 소실되어 생가의 건립 경위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임용상은 수락리의 생가에서 1877년(고종 14) 임효수(林孝洙)의 아들로 태어났다.
[위치]
현서면사무소에서 35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9.2㎞ 정도 이동한 후, 월정교차로에서 지방도908호선으로 갈아타고 다시 8.8㎞ 가면 도로 좌측편에 수락리 임용상 생가지가 있다.
[형태]
수락리 임용상의 생가는 6·25전쟁 때 불타버려 형태를 알 수 없다.
[현황]
수락리 임용상 생가는 6·25전쟁 때 소실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수락리 임용상 생가지는 현재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바로 옆에는 다른 민가가 있다. 한편, 수락리 임용상 생가지에서 동남쪽으로 20m 떨어진 지점에 생가였음을 알려주는 ‘중호임용상의사유허비(中虎林龍相義士遺墟碑)’가 건립되어 있다. 이 비석은 1978년 건립된 것으로 비신의 높이는 170㎝ 정도이다.
[의의와 평가]
수락리 임용상의 생가는 6.25전쟁으로 소실되었지만, 임용상 유허비가 세워져 있어 임용상이 독립운동에 헌신한 뜻을 기릴 수 있는 장소로서 의미가 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