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심기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26
이칭/별칭 모내기소리,모노래,이앙가
분야 구비전승·언어·문학/구비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집필자 박다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9년 1월 22일 - 「모심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2리 76번지에서 권오동[남, 80세]으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09년 2월 19일 - 「모심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1리 271번지에서 천순조[여, 74세]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09년 2월 21일 - 「모심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교리 노인정에서 이말순[여, 74세]으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09년 7월 24일 - 「모심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360-7 경로당에서 이종근[남, 71세]과 조우재[남, 71세]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모심기소리」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7-20 경상북도 청송군’에 수록
채록지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2리 76 지도보기
채록지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1리 271 지도보기
채록지 교리 노인정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교리 노인정 지도보기
채록지 신성리 경로당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360-7 지도보기
가창권역 경상북도 청송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방식
가창자/시연자 권오동|천순조|이말순|이종근|조우재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

[개설]

「모심기소리」는 청송군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던 노동요의 일종으로 농민들의 삶의 애환이 담겨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9년 1월 22일 청송군 파천면 신흥2리 76번지 에서 권오동[남, 80세], 2009년 2월 19일 청송군 파천면 덕천1리 271번지에서 천순조[여, 74세], 2009년 2월 21일 청송군 청송읍 교리 107 교리 노인정에서 이말순[여, 74세], 2009년 7월 24일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360-7 경로당에서 이종근[남, 71세]과 조우재[남, 71세]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하였다. 또한 「모심기소리」는 2014년 12월 28일 간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7-20 경상북도 청송군’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청송군 지역에서 불리는 「모심기소리」는 선후창 방식으로 가창되었으며, 그 속에는 농민들의 삶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내용]

모시야 적삼아 반 적삼에 분통 같으나 저 젖 보소 / 많이 보면은 병이 되고 손톱 만춤만 보고 가소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겨주소 / 이 물꼬 저 물꼬 다 헐어 놓고 쥐네 양반은 어델 갔노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겨주소 / 바다 겉은 이 논자리 장개판 만춤만 남아있네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겨주소 / 찔레야 꽃으로는 장가가고 석류꽃으로는 요객 가네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겨주소 / 만인간요 웃지 마소 귀동자 볼라고 장가가네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겨주소 / 바다 겉으나 이 논자리 장개판 만춤만 남아있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심기소리」는 청송군 지역에서 모내기를 할 때 노동의 고단함과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선후창 방식을 통해 가창되었다.

[현황]

농업의 기계화로 인해 모를 심는 일은 기계로 대체되었다. 때문에 이러한 「모심기소리」 역시 점차 전승력을 잃어 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청송군의 「모심기소리」는 선후창 양식으로 남성 화자가 중심이 되어 여인을 갈구하는 심정을 솔직하게 담아 가창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를 통해 청송군 지역의 남성의 솔직함과 남성다움이 잘 드러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