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여도』 「성주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224
한자 廣輿圖星州牧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회화식 채색 지도

[정의]

『광여도』 제5책 영우도에 포함되어 있는 조선 후기 성주목의 회화식 채색 지도.

[형태 및 구성]

총 7책으로 크기는 가로 28.6㎝, 세로 36.8㎝이다. 총 381장에 달하는 채색 지도(彩色地圖)이며, 제1책 천하도(天下圖)·중국도·유구도(琉球圖)·일본도·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조선지도·도성도(都城圖)·경기도, 제2책 호서도, 제3책 호남도, 제4책 관서도·해서도, 제5책 영우도(嶺右圖), 제6책 영좌도(嶺左圖), 제7책 관동도·관북도이다. 성주목은 제5책 영우도에 포함되어 있다.

[특징]

『광여도』의 제작 시기는 충청도 지도인 제2책 호서도에 노성(魯城)으로 기재된 점으로 미루어 19세기 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노성은 1800년에 고을명이 이산(尼山)에서 바뀐 것이다.

오른쪽 위에는 제목에 해당하는 ‘성주목(星州牧)’을 명기하였고, 산지는 각각 봉우리로 표현하였으며, 하천은 회색 바탕의 선으로 그렸다. 읍치와 무계역·안언역·답계역은 적색 테두리에 분홍색 바탕의 장방형으로 나타내었고, 읍치 좌우에는 향교와 관왕묘를 표시하였고, 독용산성 안에는 산창과 안국사를 표시하였다. 방면은 다른 고을들처럼 ‘~방’ 대신 ‘~면’으로 일치시켰으며, 소속 면은 적색 테두리에 황색 바탕의 장방형으로 표시하였다. 사찰만이 아니라 서원·향현사·영당을 비롯하여 산(山)·천(川)·창(倉)·봉(烽)의 명칭을 모두 기재하였다. 『광여도』내의 작은 고을들은 지도 뒷면에 주기(注記)한 내용들이 있으나, 성주목은 대구부·안동부·상주목처럼 주기가 없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 「성주목」 은 19세기 성주 지역 산천의 명칭과 각 면 및 주요 시설의 위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서원과 향현사 및 영당의 명칭은 이들 시설의 설립과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