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174
한자 百中
이칭/별칭 백종,중원,망혼일,우란분절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설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경상북도 성주군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7월 15일

[정의]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개설]

백중(百中)은 농민들이 세벌 김매기를 마치고 휴식을 취하는 날이다. 이날이 되면 농민들은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하루를 보냈다. 주인이 음식을 마련하여 머슴을 위로하는 잔치를 베풀기도 하고, 머슴에게 돈을 주기도 했다. 머슴들은 그 돈으로 시장에 가서 음식을 사 먹고 물건도 샀다. ‘백중장(百中場)’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도 바로 이러한 상황 때문이었다. 또한, 백중이 되면 사찰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라는 법회를 연다.

[연원 및 변천]

백중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백중’이란 명칭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음력 7월은 바쁜 농사철이 끝난 때이므로, 백중날이 되면 대다수 농민들은 음식을 장만해서 나누어 먹으면서 즐겁게 놀았다. 백종(百種),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이라고도 한다. 백중백종이라고 하는 것은, 이 무렵에 과실과 채소가 많이 나오므로, 옛날에는 백 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망혼일이라고도 하는 것은 이날이 되면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서 조상의 혼을 위로했기 때문이다.

백중중원이라고도 하는데, 중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 중 하나다. 이날이 되면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여긴다. 백중은 불교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기록에 따르면, 백중은 스님들이 우란분회를 여는 큰 명절이다. 오늘날에도 이런 불교 의례가 강하게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성주 지역에서도 불교 신자 중에는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농민의 명절’이나 ‘제삿날’로서 백중의 의미는 거의 없어졌다. 농민에게 백중은 노동의 고단함을 달래고 잠시 쉬는 휴식의 의미를 지녔다. 또한, 백중은 조상의 혼을 위로하는 날이기도 했다. 오늘날 대다수의 사람들은 백중을 중요한 명절이라 여기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