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방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684
한자 畵舫齋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69년연표보기 - 화방재 건립
원소재지 화방재 원소재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지도보기
성격 정자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에 있던 조선 후기 정자.

[개설]

화방재(畵舫齋)와 관련하여 여암(旅菴) 신경준(申景濬)[1712~1781]의 문집 『여암 유고(旅菴遺稿)』에 화방재사(畫舫齋辭)와 화방재기(畫舫齋記) 각 1편이 전한다. 화방재사는 군수 신경조[1708~1777]가 연안에 누선(樓船)이 정박한 모양의 화방재를 짓자 신경준이 정자의 명칭과 유래, 수령은 근본을 기르고 백성들을 잘 기른 뒤에 한가함을 즐기라는 당부 등을 곁들여 기문과 노래로 읊은 어부가(漁父歌)의 형식이다. 신경준은 고향인 순창에 잠시 머물던 1769년(영조 45) 당시 군수 신경조의 부탁을 받고 화방재의 축조 과정을 기록한 화방재기를 지었다.

또한 곡운(谷耘) 권복(權馥)[1769~1833]이 남긴 『곡운공 기행록(谷耘公紀行錄)』 남유록(南遊錄)[1818년 8월 11일~9월 23일] 유상편에는 응향각(凝香閣)·화방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다. “순창 응향각은 동헌 곁에 있다. 집 아래에는 작은 호수가 있어서 연꽃이 많이 피어 있으며 호수 기슭에는 화방재가 있는데, 우뚝하게 이름난 정자이다.”

[위치]

화방재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옛 순창 관아 터에 있었다.

[변천]

1769년 순창 군수 신경조가 순창의 명승으로 알려진 응향각 주변에 화방재를 지었다. 응향각은 강물을 끌어 와 연못을 조성하고 백련을 심은 뒤 작은 배를 띄워 놓았으며, 주위에 대숲과 나무들이 둘러싸여 그윽한 맛이 있었다. 그러나 넓게 트인 경치를 볼 수 없어 응향각 서쪽의 남지(南池)와 시내 사이의 긴 언덕에 새로이 누각을 세워 화방재라 이름 하였다.

1818년 권복의 『곡운공 기행록』 남유록 유상편에 화방재의 존재에 대한 기록이 있다. 조선 후기 시조 작가 이세보(李世輔)[1832~1895]가 응향각화방재에서의 유락과 추억을 노래한 시조 4수가 남아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적어도 19세기 말까지 존재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형태]

아래층은 배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위층은 채각(彩閣)으로 꾸며 바라보기에 마치 누선이 기슭에 정박한 모습이었다고 한다.

[현황]

19세기 말엽 이후 어느 때인가 훼철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화방재는 순창 관아에 딸린 누각으로 백련이 심어진 연못을 사이에 두고 응향각과 마주한 정자였다. 특히 화방재와 관련한 신경준의 화방재사는 조선 후기 주목받는 어부가의 대표적 사례인데, 우리나라 어부가의 전통을 이으면서 새로운 문학적 경지를 수립한 실학파 문인의 시문학 세계를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