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장원질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751
한자 壯元-
이칭/별칭 「에야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
집필자 유장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4년 - 「장원질 소리」 채록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3월 11일연표보기 - 「장원질 소리」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육자배기 토리
출현음 미·라·시·도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박자 구조 세마치
가창자/시연자 이정호[남, 1940년 생]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에서 마지막 논매기를 마치고 농사 장원 일꾼을 선발하여 주인집으로 향할 때에 부르는 유희요.

[개설]

「장원질 소리」는 마을에서 농사를 가장 잘 지은 집 일꾼을 농사 장원으로 뽑아 당사실로 치장한 소의 잔등에 태운 후 삿갓을 거꾸로 씌우고, 나머지 일꾼들이 이를 에워싸고 풍장을 치며 동네 고샅[마을의 좁은 길목]을 돌며 주인집으로 행진할 때 흥겹게 놀면서 부르는 유희요이다. 이를 「에야 타령」이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04년 유장영이 쓰고 순창 금과 모정 들소리 보존회에서 간행한 『순창군 금과면 모정 들소리 자료 조사 및 고증 보고서』, 그리고 2004년 김익두·유장영·양진성 등이 집필하고 전라북도에서 발행한 『전라북도 농악·민요·만가』 등에 실려 있다. 이는 유장영이 같은 해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茅亭里)[2008년부터 매우리(梅宇里)로 변경]에서 이정호[남, 1940년 생]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장원질 소리」와 비슷한 농요가 옥구 탑동, 진안 원평지, 김제 청하 등에서도 불리고 있다. 모두 세마치장단에 선후창 방식으로 불리는데, 이러한 농요들을 「진도 아리랑」의 원형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육자배기 토리[소리 계면조]’로 짜여 있고, ‘미·라·라’ 로 4도 상행 종지한다. 남원시 대강면 평촌리 평촌 마을의 「소탄 소리」 역시 남도 계면조로 되어 있다.

[내용]

[이정호: 자 농부님네들!]/ [뒷소리꾼들: 예이!]/ [이정호: 금년 제초 다 끝났네, 소타고 집에 들어가면 고샅이 빽빽허도록 장원질 노래나 한번 불러보세!]/ [뒷소리꾼들: 그러세!]

[메]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저 건네~갈미봉에 비 묻어온다 우장 삿갓 짐을 지고 집으로 가세/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노자 좋다 저 젊어 놀아 늙고 병들면 내가 못 놀것네/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노다 가~세 노다가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가세/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삼각산 몰랭이 비온동만동 어린 가장 품안에 잠잔동 만동/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저기 가는~ 저 처녀 눈매를 보소 겉눈만 감고서 속눈만 떴네/ [받]에야~ 뒤야~ 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메]니가 잘나서 일색이~~냐 내 눈이 어두워 환장이로고나/

[받]에야~뒤야~에헤~에~~에야 에어야 뒤어라 산아지로고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금과 들소리」에 들어 있는 「장원질 소리」는 농업 기술이 기계화·현대화되면서 지금은 농업 현장에서 불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금과 들소리」는 2005년 3월 11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지금도 순창 금과 모정 들소리 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 및 공연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의의와 평가]

「장원질 소리」는 기능상 유희요에 해당한다. 한 해 농사를 다 짓고 난 후에 일꾼들의 피로를 풀고 농사를 잘 지은 일꾼을 뽑아 장원으로 삼고 축하해 주는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