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000676 |
---|---|
한자 | 自治會館 |
영어음역 | Jachihoegwan |
영어의미역 | Community Center |
이칭/별칭 | 주민자치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변철희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동에 설치된 각종 문화·복지·편익 시설.
자치회관은 구로구 주민을 위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과 각종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지역을 스스로 운영해 나가도록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정부에서는 1999년 7월 지역 중심의 주민 자치 여건 조성을 위해 구로1동과 오류1동에 주민자치센터를 시범적으로 설치하였고, 2001년에는 구로구 관내 19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주민자치센터 설치를 완료하였다. 2008년 5월 1일 1차 동 통·폐합을 거쳐 19개 동을 17개 동으로 개편하였고, 12월 26일에는 조례 제846호에 의해 주민자치센터를 자치회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같은 달 29일 2차 동 통·폐합을 거쳐 17개동을 15개동으로 개편하였고 현재 15개소의 자치회관이 운영되고 있다.
구로구 자치회관은 「서울특별시구로구자치회관설치및운영조례」제15조에 근거하여 동별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동별 주민자치위원회는 각계각층의 주민 대표를 동장이 위촉하여 25명 이내로 구성되고 위원장은 호선하며, 자치회관 운영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장은 위원회 위원의 위촉 및 해촉 권한을 가지며, 운영 재원은 자치 단체 예산과 자체 사업 수익, 회비 등으로 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외 자치 회관 프로그램의 개설 및 폐강은 주민자치위원회와 동장이 담당하고, 프로그램 수강 신청은 각 동 자치회관에서 담당한다.
지역 문제 토론·마을 환경 가꾸기·자율 방재 활동 등의 주민 자치 기능, 지역 문화 행사·전시회·생활 체육 등의 문화 여가 기능, 건강 증진·마을문고·청소년 공부방 등 지역 복지 기능, 회의장·알뜰매장·생활 정보 제공·시설 이용 등의 주민 편익 기능, 평생교육·교양 강좌·청소년 교실 등 주민 교육 기능, 불우 이웃 돕기·청소년 지도·내집 앞 청소하기 등의 시민 교육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
자치회관의 주요 시설로는 다목적방, 정보방 겸 마을문고, 다기능교실, 주민사랑방이 있다. 이중 다목적방에서는 에어로빅·단전호흡·스포츠댄스·탁구·요가 등의 생활체육, 민요·장구·가요 교실·영화 감상 등의 취미교실, 어린이 연극·노래자랑·그림·사진 전시 등의 공연 및 전시회 등을 실시한다. 정보방 겸 마을문고에서는 인터넷 정보 검색과 컴퓨터 게임, 문서 작성과 독서 등을 실시하며 다기능교실에서는 꽃꽂이, 종이 공예, 서예, 영어[일어]교실, 메이크업, 동화 구연, 수화 교실, 퀼트, 수예 등의 취미 교실과 각종 소규모 강좌를 실시한다. 또한 주민사랑방은 주민들의 친목 모임이나 간담회 등 각종 단체 회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자치회관은 동주민센터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동의 관할 구역 내에 있는 다른 시설 및 공간을 자치회관의 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2010년 현재 신도림동, 가리봉동, 수궁동, 오류1동, 오류2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등 15개 동에 자치회관이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