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성산리 고인돌군[星山里支石墓群]은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으로, 성산리 고인돌군 1[함바위 마을]과 성산리 고인돌군 2[살망태 마을과 성현[별티] 마을 사이]로 나뉜다. 성산리 고인돌군 1은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173번지 일원에 있는데, 성주읍에서 국도 제30호선[구 도로]을 따라 대구시 방면으로...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어산리 고인돌군[漁山里支石墓群]은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으로, 어산리 고인돌군 1과 어산리 고인돌군 2로 나뉜다. 어산리 고인돌군 1은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 322번지, 어산 마을에서 남쪽으로 300m 지점에 있다. 백천(白川) 동안에 있는 자산[해발 283m]의 서쪽 기슭에 분포한다. 어산리 고...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용각리 고인돌군[龍角里支石墓群]은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으로, 용각리 고인돌군 1과 용각리 고인돌군 2, 용각리 고인돌군 3으로 나뉜다. 용각리 고인돌군 1은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 147번지 저암 마을 마을 회관 앞에 있다. 용각리 고인돌군 2는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 858번지에 자리하는데, 묵산...
고분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星州星山洞古墳群)은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산61번지에 있다. 성주군 성주읍의 동남쪽에 자리한 성산(星山)[해발 389m]의 서쪽과 북쪽 사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금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금산리 고분군(金山里古墳群)은 성주군 대가면 금산리 산78-11번지에 있다. 국도 제33호선 금산 교차로의 북쪽에 접한 야산의 남쪽 사면에 자리한다. 성주군 대가면 소재지에서 가천면 방향으로 약 2.5㎞ 떨어진 금산리 삼산 마을 일대에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대천리 고분군(大川里古墳群)은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 산26-1번지에 있다. 국도 제33호선 굴목 교차로의 북쪽에 접한 야산에 자리하며, 대가천(大伽川) 상류의 동안(東岸)에 해당한다. 고분군이 있는 곳은 고령군과 김천시, 성주군으로 통하는 삼각 지점으로, 고대부터 내륙 교통로상의 요충지로 추정된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명포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명포리 고분군(明浦里古墳群)은 성주군 선남면 명포리 산19번지 일대에 있다. 성주 성산동 고분군(星州星山洞古墳群)에서 남쪽으로 약 3㎞ 떨어져 있으며, 명포 보건 진료소 북쪽에 있는 군도 제14호선의 서쪽 산비탈에 분포한다. 고분군 앞쪽으로 봉암천(鳳岩川)이 흐르고 있으며, 뒤편에는 성산(星山)에서 뻗어 내려온 가지 능선이...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수죽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수죽리 고분군(水竹里古墳群)은 성주군 월항면 수죽리 40-1번지와 수죽리 산1번지, 수죽리 39번지 일대에 있다. 성주군과 칠곡군의 경계가 되는 봉화산(峰火山)의 서쪽 사면과 월항면 수죽리 풀모산못 북서쪽에 접한 해발 82.5m의 야산 정상부와 사면, 그리고 관진재와 죽방 마을 사이의 양지편산[해발 186.7m] 정상부와 동...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신부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신부리 고분군(新夫里古墳群)은 성주군 선남면 신부리 산28번지와 신부리 49-1번지, 신부리 66번지 일대에 있다. 성주군 선남면 신부리 예촌 마을 뒤편의 구릉[해발 62m]과 맞은편 야산의 북쪽 사면, 그리고 성주군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성산(星山)[해발 389m] 최정상에서 동남쪽의 신부리 관석 마을로 뻗어 내린 능선...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안포리 고분군(安浦里古墳群)은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산18번지~안포리 산20번지와 안포리 877번지 일대에 있다. 월항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북서쪽으로 약 0.8㎞ 떨어져 있으며, 국도 제33호선 안포 교차로의 북쪽,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중포 마을에 접한 해발 60m 내외의 소구릉 정상부와 사면에 분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어산리 고분군(漁山里古墳群)은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 산10-1번지 일대에 있다. 초전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북쪽으로 약 2.5㎞ 떨어져 있으며, 성주군 초전면 어산리 어은 마을 뒤편에 있는 해발 110m~150m의 구릉과 어은 마을에서 남쪽으로 300m 정도 떨어져 백천(白川)과 접하고 있는 돌출된 구릉[해발 89.7m] 등에...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옥화리 고분군(玉花里古墳群)은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산57번지에 있다. 성주군 대가면의 대서초등학교에서 성주읍으로 가는 국도 제33호선의 좌측 능골 마을 뒷산 구릉 정상부, 국도 제33호선 금산 교차로의 북쪽으로 접한 야산의 남쪽 사면에 분포한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용봉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용봉리 고분군(龍鳳里古墳群)은 성주군 초전면 용봉리 산131번지, 조양동 마을의 서북쪽 능선상에 분포한다. 초전면 행정복지센터에서 김천시 방향으로 지방도 제905호선을 따라 약 3.7㎞를 이동하면 도착한다. 고분군의 동쪽으로는 중부 내륙 고속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용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용암리 고분군(龍岩里古墳群)은 성주군 벽진면 용암리 산143번지에 있다. 벽진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북쪽으로 약 10㎞ 떨어져 있으며, 성주군과 김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고당산(姑堂山)[해발 603m]의 동쪽 끝자락에 분포한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유월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유월리 고분군(柳月里古墳群)은 성주군 월항면 유월리 산71번지와 유월리 120-2번지, 유월리 103번지에 분포한다. 성주군과 칠곡군의 경계가 되는 봉화산(峰火山)의 남쪽 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성주군 월항면 유월리 월곡 소류지 못둑에서 서남쪽으로 이어지는 해발 60m 내외의 구릉 정상부와 사면부[유월리 고분군 Ⅰ],...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인촌리 고분군(仁村里古墳群)은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산64번지 일대, 월항면과 칠곡군 북삼읍의 자연·행정 경계가 되는 선석산(禪石山)[해발 742m]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에 위치한다. 성주군 월항면의 가장 북쪽에 있는 인촌리 넓미 마을 서쪽에 있는 인촌지(仁村池)의 북쪽 산 남쪽 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자산리 고분군(紫山里古墳群)은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 산181-1번지 일대에 있다. 연봉산(延鳳山)[해발 229m]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어 벽진 저수지의 제방 서쪽에 이르는 해발 약 100m 전후의 돌출 구릉상에 위치한다. 벽진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북쪽으로 약 2㎞ 떨어져 있으며, 벽진중학교 북쪽에 있는 야산에 입지한다. 자산리...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장학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장학리 별티 고분군은 성주군 선남면 장학리 산36-1번지, 성주읍과 선남면의 경계인 별티재[星峴] 남쪽에 있다. 별티재를 지나 군도 제14호선을 기준으로 동쪽 산지의 정선부와 사면 일원에 위치한다. 성주 성산동 고분군(星州星山洞古墳群)에서 남쪽으로 약 1.2㎞ 정도 떨어져 있다. 고분군의 북쪽에 있는 별티재는 옛부터 고령 지...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지방리 고분군(池方里古墳群)은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 산102번지, 모산 마을 뒤편 야산의 서북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상에 있다. 성주군 월항면과 초전면의 경계가 되는 지산[해발 285m]의 정상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사면에 분포하는데, 이곳은 지방초등학교의 북서쪽에 해당한다. 지방리 고분군에서 남동쪽으로 100m 정...
성곽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문헌 자료에 가야산 산성(伽倻山山城)의 축성 기록이 남아 있으나, 처음 축조한 연대나 건립 경위 등은 명확하지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석축 둘레가 1만 5935척[4.83㎞], 높이가 5척[1.52m]이고 성내에 샘이 10...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독용산에 있는 가야 시대 산성. 독용산성(禿用山城)은 현존하는 수많은 영남 지역의 성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산성으로서 가야 시대에 축조하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건립 경위는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으나 성주 지역의 지리적, 역사적 위치로 미루어 볼 때 국경을 방어하는 군사적 목적으로 건립하였으리라 추정한다. 이러한 건립 목적은 『삼국사기(三國史記)』「신...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예산리·백전리에 있는 고려 후기 읍성. 성주읍성(星州邑城)의 처음 축성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 기록에 따르면 1380년(우왕 6)에 토성이었던 것을 1520년(중종 15)에 석성으로 개축하였다고 전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기 직전인 1591년(선조 24)에 왜적의 침입에 대비해 지방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 봉화산에 있는 산성. 관련 자료가 없어 용각산성(龍角山城)의 축성 시기 등은 알 수 없다....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명천리~대가면 도남리 도장골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할미산성은 삼국 시대의 관방 유적으로, 현재 일부 흔적만 확인될 뿐 축성 시기 등은 알 수 없다. 노고성이라고도 부른다. 구전에 따르면 마고할미가 치마에 돌을 담아 노고성과 구미 지역의 금오산성(金烏山城)을 함께 쌓았다고 하며, 독용산성(禿用山城)의 장군 김덕의 부하들이 쌓았다고도 전한다. 쌀을 보관하던...
태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선석산 태봉에 있는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의 왕자 18명과 세손 단종의 태실. 세종대왕자 태실(星州世宗大王子胎室)은 1438년(세종 20)~1442년(세종 24)에 조성하였다. 출생한 순서에 따라 설치한 것이 아니라 태실(胎室) 조성의 적기가 아니면 자리를 비워 두고 조성하였는데, 이는 계획적으로 마스터 플랜을 갖고 조성하였음을 보여 준다. 원래 세종...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대봉리 조곡산 태봉에 있는 조선 제3대 임금 태종의 태실. 태종(太宗)[1367~1422]은 1367년(공민왕 16) 5월 16일에 함경도 함주[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태조(太祖)와 신의 왕후(神懿王后) 사이에서 5남으로 태어났다. 태종이 1400년(태종 즉위년)에 임금에 즉위하자, 예에 따라 1401년(태종 1) 7월에 하륜(河崙)을 태실증고사로 삼아 길...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 법림산 태봉에 있는 조선 제6대 임금 단종의 태실 자리. 단종(端宗)[1441~1457]은 1441년(세종 23) 7월 23일에 문종(文宗)과 현덕 왕후(顯德王后)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1448년(세종 30) 세손에 책봉되었고, 1450년 문종이 즉위하자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452년 5월에 조선 제6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이후 1457년(세조 3...
관아 건축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관아 건축물. 성주 성산관(星州星山館)은 조선 시대 관아 건축물의 하나로, 고을의 수령이 행정 업무를 보던 중심 건물이다. 성주목(星州牧)의 동헌(東軒)으로 쓰이던 건물이며 아사(衙舍), 군아(郡衙), 시사청(視事廳) 등으로 불렸다. 성주읍성(星州邑城) 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관청 건물이다....
터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마월리에 있는 삼국 시대 가마터. 마월리 가마터는 성주군 용암면 마월리 산133-1번지에 있다. 용암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에서 성주읍 방향으로 난 지방도 제905호선[상성로]을 따라 약 5㎞ 북진하면 왼편에 마월1리 마을이 나온다. 마월리 가마터는 1999년에 폐교된 용암초등학교 성암분교의 서쪽 구릉[해발 250m] 사면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 가마뿐만 아니...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조선 시대의 토기 산포지. 예산리 토기 산포지(禮山里土器散布地)는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산1번지·예산리 산2번지·예산리 산5번지·예산리 산6번지에 걸쳐 분포한다. 성주군 성주 읍내에서 초전면으로 향하는 지방도 제905호선과 월항면으로 향하는 국도 제33호선 사이에 자리한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법수사(法水寺)는 통일 신라 시대인 802년(애장왕 3)에 창건된 사찰로, 창건 당시에는 금당사(金塘寺)라고 불렀다. 이후 고려 시대에 중창하여 법수사로 개칭하였다. 통일 신라 시대의 거찰인 금당사는 승려 의상(義湘)[625~702]의 법증손인 승려 이정(利貞)이 화엄 십찰(華嚴十刹)의 한 곳으로 창건하여, 해인사(海印寺...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시대와 사찰명이 알려지지 않은 관계로 지역 명칭을 따서 법전리 사지(法田里寺址)라고 명명하였다. 법전리 사지는 가야산(伽倻山) 상왕봉 8부 능선에 자리하며, 한국의 사지(寺址)에 등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칠산 꼭대기에 있는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터. 성주 대황당(大隍堂)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칠산 꼭대기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마을 신당이다. 원시 시대부터 할미신[老姑神. 일명 댕대이산 할매]을 토속신으로 하여 제사를 지내던 민간 신앙지로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유적이 있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는 성주읍성...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흥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사직단 터. 사직(社稷)은 조선 시대에 국가에서 시행하는 여러 제사 중 하나로, ‘사(社)’는 토지의 신을, ‘직(稷)’은 오곡의 신을 뜻한다. 즉 사직단(社稷壇)은 토지의 신과 곡물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장소를 말하며, 우리나라 사직의 역사는 삼국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사직의 실상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고려 시대부터이...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사당 터. 성황사지는 성황신을 모신 성주읍성의 사당 터이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터만 전한다....
불교 건축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금당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배례석. 배례석(拜禮石)은 불자들이 부처에게 합장을 하거나 향을 피울 때 예를 갖추는 장소로 사용하는 석물이다. 금당사(金塘寺) 터 배례석은 현재 법수사지(法水寺址)에 남아 있는 2기의 배례석을 말한다. 금당사는 802년(애장왕 3)에 창건된 화엄종 계열의 사찰로, 후대에 법수사(法水寺)로 절 이름을 변경하였다. 현재...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동방사지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동방사지 칠층석탑(東方寺址七層石塔)은 신라 애장왕(哀莊王)[788~809] 때 창건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불타 버렸다고 알려진 동방사(東方寺) 경내에 있던 칠층 석탑으로, 석탑 자체는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기단이 작아 안정감이 없는 점 등의 특징은 고려 시대의 석탑 양식을 대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법수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당간 지주. 법수사(法水寺)는 통일 신라 시대에 창건한 사찰로 금당사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의 지방지인 『경산지(京山誌)』에 따르면 9개의 금당과 8개의 종각을 갖춘 대가람이었다고 한다. 현재는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法水寺址三層石塔)[보물]과 석축, 법수사지 당간지주(法水寺址幢竿支柱)[경상북도 유형 문화재]만 절...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법수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탑.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法水寺址三層石塔)은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 있던 통일 신라 시대 후기의 사찰 법수사(法水寺)의 삼층 석탑이다. 법수사는 신라 제40대 왕 애장왕(哀莊王)[788~809] 때 창건한 대사찰이지만 임진왜란 이후 폐사(廢寺)되어 지금은 없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보월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성주 보월동 삼층석탑(星州甫月洞三層石塔)은 이름이 전하지 않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사찰 터에 남아 있는 석탑의 흔적들을 수습하여 복원한 것이다. 사찰의 이름이 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몽골 침입 때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화재로 전체가 소실된 것으로 추측된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선사의 대웅전. 성주 선석사 대웅전(星州禪石寺大雄殿)은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16-33[인촌리 217번지] 선석사 경내에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심원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탑. 심원사(深源寺)는 8세기경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가야산(伽倻山)에 있던 대사찰 법수사(法水寺)의 창건 시기와 같다. 도은 이숭인(李崇仁)이 시에서 고사(古寺)라고 칭한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에 사세가 꽤 번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지원이 중수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소...
유교 건축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묘당. 성주 첨경재(星州瞻敬齋)는 성산 이씨(星山李氏)의 묘당이다. 성산 이씨 집성촌인 성주 한개 마을의 뒤쪽 영취산(靈鷲山) 불메동에 성산 이씨의 조상 묘소들이 있는데, 이 묘소들에 대한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해 건립하였다. 따라서 성주 첨경재 건물은 가묘의 사당이 아니라 산소의 묘당이다. 첨경(瞻敬)은 ‘묘소를 우러러보는 위치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성주향교의 주요 건물. 성주향교(星州鄕校)의 주요 건물은 대성전(大成殿) 및 명륜당(明倫堂)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측의 대성전은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좌측의 명륜당은 강학하는 곳으로 사용하고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수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강당. 월회당(月會堂)은 원정(圓亭) 여희림(呂希臨)[1481~1553]이 1516년(중종 11)에 고향에서 주자(朱子)가 가감, 증보한 『여씨향약(呂氏鄕約)』을 교육하고 시행하기 위해 향약 강회를 열었던 장소이다. 월일강회(月一講會), 즉 한 달에 한 번이라도 모여 향약 강회를 가져야 한다라는 뜻에서 명명한 것으로, 강회에는 누구든...
정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도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 효자 박구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535년에 세운 비. 정려(旌閭)란 충신·효자·열녀 등 모범이 되는 사람을 표창하고자 집 앞에 정문(旌門)을 세워 기리던 것으로, 이 비는 조선시대 사람인 박구의 효행을 기리고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도성리에 있는 밀양 박씨 가문의 효자 세 명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866년 건립한 정려각. 성주 도성리 삼효각(星州道成里三孝閣)에 정려된 세 명 가운데 사헌부 감찰에 증직된 박안연(朴安連)[1566~1619]은 부친이 병든 지 6년에 의원이 ‘인육(人肉)이 효험이 있다’고 하자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몰래 드려 효험이 있었다고 전한다. 또한 그 후손 박...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보암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인 도형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818년에 세운 정려각. 성주 도형 정려각은 조선 전기 학자인 도형(都衡)[1480~1547]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과 정려각이다. 도형의 본관은 성주, 자는 국전(國銓), 호는 행정(杏亭)이다. 할아버지는 도이경(都以敬), 아버지는 진사 양진당(養眞堂) 도맹녕(都孟寧), 어머니는 단양 우씨...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성리에 있는 이경환과 그의 부인 성산 배씨를 기리기 위해 일제 강점기에 세운 비각. 이경환(李慶煥)[1902~1929] 의사(義士)는 1928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왕 히로히토[裕仁]가 교토[京都]를 방문했을 때 한국 침략의 부당성과 조선 총독부(朝鮮總督府) 철폐를 요구하는 직소장(直訴狀)을 제출하려다가 감옥에 갇히는 몸이 되었고, 옥고를 치르며 온갖 고통을...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동포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송희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565년에 세운 비. 송희규(宋希奎)[1494~1558]의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천장(天章), 호는 야계(倻溪)·야계산옹(倻溪山翁),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원래 시조 때부터 합천 야로(冶爐)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9세손 송구(宋構)[?~?]가 경상감사(慶尙監司)로 부임하면서 경상북도 성주군...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에 있는 의병장 박이현과 그의 아들 박영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25년에 세운 정각. 박이현(朴而絢)[1544~1592] 의병장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김면(金沔)의 의병진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우고 성주 가천의 전투에서 전사하였으며, 그 공으로 공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이후 그의 아들 박영서(朴永緖)[?~1624]가 이괄의...
비
-
1871년 외세를 배척하고 수교를 거부하는 의지를 나타내고자 흥선 대원군이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세운 비. 경산리 척화비(京山里斥和碑)는 1871년(고종 8) 4월 신미양요를 겪은 후,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이 서울 종로를 비롯 전국 주요 도로변에 약 200여 개 건립한 비석 중 하나로, 비의 앞면에는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입을 경계하는 내용의 비...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관왕묘지에 세워진 비석. 하마비(下馬碑)는 조선 시대 종묘, 서원, 향교, 궐문 등 입구에 세운 비석을 지칭한다. 하마(下馬)를 직역하면 ‘말에서 내려라’라는 명령어로, 신분, 지위를 떠나 하마비가 세워진 곳을 지나가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 겸허한 마음을 가지고 선열에 대한 경의를 표하라는 의미에서 전국에 설치하였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문방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희맹을 기리기 위해 1564년에 세운 비. 권희맹(權希孟)[1475~1525]은 조선 전기 성주 출신의 문신으로 성품이 굳세고,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학문에 정진하였고 관직에 오른 후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쳐 후일 강원도관찰사로 임명되었다. 직무를 수행함에 막힘이 없고 능력이 탁월하여 관리자로서 유능하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창집을 기리기 위해 1750년에 세운 비. 조선 후기 문신인 김창집(金昌集)[1648~1722]의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여성(汝成), 호는 몽와(夢窩)이다. 1684년(숙종 10) 정시 문과에 급제하고 정언, 병조 참의 등을 지냈다. 1712년 사은사(謝恩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1717년 영의정이 되었다. 1721년(경종...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보암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도형을 기리기 위해 1917년에 세운 비. 도형(都衡)[1480~1547]은 본관이 성주, 자가 국전(國銓), 호가 행정(杏亭)이다. 성주군 운곡리(雲谷里)에서 태어났다.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의 문인이다. 용암(龍巖) 박운(朴雲)[1493~1562]·묵재(墨齋) 노필(盧▼玉+筆)[1464~1532]...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학자인 김우옹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 신도비(神道碑)란 임금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을 말한다. 김우옹(金宇顒)[1540~1603]은 남명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 22)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 병조 참판, 대사성(大司成)을 거...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문명리에 있는 임진왜란 때 성주에 정착한 시문용을 기리기 위하여 1847년에 세운 비. 시문용(施文用)[1572~1643]은 중국 절강성 출신으로 자가 종록(宗祿), 호가 풍천(風泉)이다. 우리나라 절강 시씨(浙江施氏)의 시조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 들어왔다가 귀화하여 성주 지역에 정착했다. 아버지 시윤제(施允濟)의 명으로 정유재란 때 제독 마귀(麻貴)의...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에 있는 배극렴의 사묘와 신도비. 주금당(晝錦堂) 배극렴(裵克廉)[1325~1392]의 사적으로, 배극렴의 시조와 조상, 배극렴의 가계, 배극렴을 기리는 명(銘), 배극렴을 칭송하는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의 시가 새겨져 있다. 배극렴은 본관이 성산(星山), 자가 양가(量可), 호가 주금당(晝錦堂)·필암(筆菴), 시호가 정절...
-
1920년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서 활약한 배덕문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에 세운 비. 배덕문(裵德文)[1525~1603]의 본관은 성산이고, 자는 숙회(叔晦), 호는 서암(書巖)이다. 조부는 배맹성(裵孟成), 아버지는 배주(裵綢), 어머니는 농서이씨(隴西李氏)로 이세무(李世茂)의 딸이다. 부인은 백거추(白巨鰍)의 딸 정부인(貞夫人) 선산백씨(善山白氏)이고 아...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무관 배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54년에 세운 비. 임진왜란 당시 무장인 배설(裵楔)[1551~1599]의 자는 중한(仲閑), 호는 서강(西岡), 본관은 성주이다. 아버지는 영덕군수, 고부군수를 역임하고 의병장으로 활약한 배덕문(裵德文)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야성송씨(冶城宋氏)로 장인은 좌의정 송렴(宋濂)의 6대손인 충...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성주목사 이보혁의 공을 기리리 위해 1784년에 세운 비. 성주목사를 역임했던 이보혁(李普赫)[1684~1762]이 이인좌(李麟佐)[?~1728]의 난을 진압한 내력과 그의 공을 기리는 시가 새겨져 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가 난을 일으켰다. 당시 이보혁은 성주목사였다. 그는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파리 양정에 군사를 집결시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16기의 비. 성주 역사 테마 공원 내 비석군은 원래 성주 읍내에 흩어져 있던 비석들을 현재의 장소로 옮겨온 것이다. 기공비(紀功碑), 선정비(善政碑) 등 16기가 모여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제말 장군과 조카인 제홍록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792년 세운 비. 제말(諸沫)[?~1592]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웅천(熊川)·김해(金海)·의령(宜寧)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공을 세웠으며 성주성 싸움에서 전사했다. 조카인 제홍록(諸弘祿)[1558~1597]은 제말과 더불어 큰 전공을 세웠으며, 이순신 장군 휘하에 있다가 정...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용정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염농산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염농산(廉隴山)[1859~1947]의 초명은 경은(敬恩)이며 1913년 농산(隴山)으로 개명하였다. 기명은 앵무(鸚鵡)이며, 호로 농산(隴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염농산은 경상 감영(慶尙監營) 교방(敎坊)의 관기 출신으로 기예가 뛰어나 명기(名妓)로 이름을 떨쳤다. 대구기생조합, 달성권번의...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대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의롭게 죽은 이사룡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1900년에 세운 비. 이사룡(李士龍)[1612~1640]의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임중(任中), 호는 괴정(槐亭)이다. 1640년(인조 18) 청나라가 명나라와의 전쟁을 위해 조선에 군사를 요청하였을 때 포수(砲手)로 징발되었다. 금주(錦州)의 전투에서 명나라의 은혜를 생각하여 탄환을 뺀...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있는 사도 세자의 호위 무관이었던 이석문을 기리기 위해 1909년에 세운 비. 이석문(李碩文)[1713~1773]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자는 사실(士實), 호는 돈재(遯齋), 별호는 북비공(北扉公)이다. 1713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 마을에서 태어났다. 한개 마을은 성산 이씨 집성촌으로 아버지는 이이신(李爾紳), 어머니는 야성 송씨...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에 있는 고려 말 문신인 이숭인을 기리기 위해 1922년에 세운 비. 이숭인(李崇仁)[1347~1392]의 본관은 성주이고,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이다. 1368년(공민왕 17) 문과에 급제한 후 예의산랑(禮義散郞)·예문응교(藝文應敎)·문하사인(門下舍人) 등을 역임했다. 고려 문사(文士)를 뽑아 명나라로 보낼 때 1등으로 뽑혔으나 나이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파리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이승을 기리기 위하여 19세기에 세운 비. 이승(李承)[1552~1598]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가 선술(善述), 호가 청휘당(晴暉堂)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문하에 들어갔고,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교...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원조를 기리기 위해 1907년에 세운 비. 이원조(李源祚)[1792~1871]의 본관은 성산(星山), 초명은 영조(永祚)였으나 세자의 이름을 휘하여 고쳤다. 자는 주현(周賢), 호는 호우(毫宇)·응와(凝窩)이며, 시호는 정헌(定憲)이다. 1809년(순조 9)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관직을 두루 거쳐 정승의 반열에까지 이르렀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에 있는 성주 이씨 중시조 이장경을 기리기 위해 1855년에 세운 비. 이장경(李長庚)은 고려 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본관은 성주이며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났다. 성주 이씨(星州李氏)는 신라 말 이순유(李純由)가 시조로 이후 5대부터 이범(李凡)·이정거(李廷居)·이충경(李冲京)·이영(李瑩)·이효삼(李孝參)·이돈문(李敦文)·이득희(李得喜)·이장경으로 내려...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무학리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위한 문신 전룡을 기리기 위해 1936년에 세운 비. 조선 전기 문신인 전룡[1559~?]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936년에 세운 신도비이다.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난 전룡의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이다. 아버지는 호조 판서 전응조(全應祖)이다. 천성적으로 성품이 올곧고 어릴 때부터 궁...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정석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1937년에 세운 비. 정석견(鄭錫堅)[?~1500]은 본관이 해주(海州), 자가 자건(子健), 호가 한벽재(寒碧齋)이다. 사림파 학자 신당(新堂) 정붕(鄭鵬)[1467~1512]의 작은아버지이다.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1431~1492]...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에 있는 조선 시대 학자인 한강 정구를 기리기 위해 1633년에 세운 신도비. 한강 정구 신도비(寒岡鄭逑神道碑)는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조선 성리학사에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를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1633년(인조 11)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갓말 마을 뒷산인 창평...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에 있는 일제에 저항하다 순절한 장기석을 기리기 위해 1937년에 세운 비. 장기석(張基奭)[1860~1911]은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몹시 가난하여 공부를 하지 못하다가 39세의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하여 43세에 학문을 두루 통달하였다. 그 뒤 후진 양성을 위한 교육에 힘썼다. 일제 때 경찰서장으로부터 경축식에 참석할 것을 강요받았으나 이를 거절하...
-
2009년 성주 출신 대중 가수 백년설의 업적과 노래를 기념하기 위해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 세운 2기의 비. 백년설(白年雪)[1915~1980]은 ‘나그네 설움’, ‘번지없는 주막’ 등 수많은 히트곡을 부른 대중 가수이자 영화 제작자, 사업가로 1915년 성주에서 태어나 성주농업보습학교를 졸업하였다. 본명은 이갑룡이고, 나중에 이창민으로 개명하였다. 1958년 대한가수협회를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