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순창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란 글자 그대로 바람, 물 그리고 땅의 이치란 말로 바람, 물, 땅의 기(氣)가 사람뿐만 아니라 지구상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느냐를 논하는 자연 과학으로 본다. '지풍수'라 할 수 있지만 바람을 앞에 써서 '풍수지리'라고 선현들이 바람을 먼저 표기한 것은 바람이 생명의 원동력으로 사람에게...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 있는 풍수지리설에서 이상적 환경으로서의 좋은 터. 명당(明堂)을 굳이 설명하자면 말이 300마리 정도가 쉴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명당을 찾는 기술이 풍수지리(風水地理) 학문이다. 풍수지리에는 도읍지나 군현,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양기 풍수(陽氣風水), 개인의 집터를 찾는 양택 풍수(陽宅風水), 조상의 묫자리를 찾는 음택 풍수(陰宅風水) 등이 있다...
-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에서 회문산의 다섯 신선이 바둑을 두는 형상을 지닌 대명당. 오선 위기혈(五仙圍碁穴)은 풍수지리학적으로 회문산(回文山)의 다섯 신선이 바둑돌로 흑백을 놓아 집을 만들어 승부를 가리는 오선위기(五仙圍碁) 형상으로 59대 장상이 나온다는 대혈(大穴)이다. 회문산 정상에서 내려온 맥의 끝에 거대한 바위가 바둑돌 그릇이며, 중봉 신선의 팔이 길게...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마을이나 묘 앞의 중요한 산인 조산과 안산을 합하여 이르는 풍수지리 용어. 풍수지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산이 안산(案山)이고, 안산의 뒤에 다시 솟아 있는 산을 조산(朝山)이라고 한다. 풍수에서 살아 있는 자의 거처를 찾는 것을 양택(陽宅), 죽은 자의 안식처를 찾는 것을 음택(陰宅)이라 하는데, 곧 묘지 풍수이다. 좀 더 설명하면 지기(地...
-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에 있는 조선 후기 유학자 기정진의 조모 묏자리. 노사(盧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의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대중(大中), 호(號)는 노사(蘆沙), 시호(諡號)는 문간(文簡)이다. 순창군 복흥면 동산리 조동 마을에서 태어나 1879년(고종 16) 81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조선 후기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산정리에 있는 초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김병로의 조상 묏자리. 김병로(金炳魯)[1888~1964]는 1888년 1월 27일 순창에서 태어났다. 호는 가인(街人)이며, 우리나라의 초대 대법원장을 지냈다. 1913년 일본 메이지 대학[明治大學] 법과를 졸업한 후 1914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였다. 1916년 경성 법학 전문학교 조교수, 19...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에 있는 말의 형상과 관련된 명당.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에 있는 마명당(馬明堂)은 팔명당(八明堂)·팔도 명당(八道明堂)·팔대명당(八大明堂) 등으로 불리는 천마시풍(天馬嘶風)[천마가 바람을 가르며 우는 모습과 같다], 갈마음수(渴馬飮水)[목마른 말이 물을 찾는다] 형상의 대명당으로 풍수지리에 관심 있는 사람은 반드시 다녀가는 곳이다....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회문산의 명당에 쓴 주인 없는 많은 무덤. 회문산 무덤은 회문산(回文山)에 명당이 있다는 전설에 따라 몰래 조상의 무덤을 만들었기 때문에 한 장소에 누구의 묘인지도 알 수 없는 많은 무덤이 만들어진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옛날부터 호남의 기두산(起頭山)으로 전주와 완주에 있는 모악산을 어머니 산, 회문산을 아버지 산으로 부...
마을 숲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풍수지리적으로 마을의 지기를 보전할 목적에서 조성한 숲. 마을 숲은 풍수지리적인 경관을 보완할 목적에서 방비 및 보전 수단으로 조성한 풍수 비보(裨補) 숲이다. 마을 숲의 조성 목적은 비보이다. 비보는 지기(地氣)가 센 곳은 눌러 주고, 허(虛)한 곳은 보(補)한다는 의미의 풍수지리적 용어이다. 비보는 사람에 비유하면, 기운이 센 사람은 기운을 낮...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에 있는 비보적 경관을 위해 조성한 숲.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 고례 마을 앞에는 250여 년 된 소나무가 마을 숲을 이루며 잘 가꾸어져 있다. 이 소나무 숲을 정문등이라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다. 조선 숙종 때 설휘(薛徽)라는 사람이 부인 옥천 조씨(玉川趙氏)와 금실 좋게 살고 있었다. 설휘는 학문에 출중하여...
-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 금천리 치천 마을 앞에 있는 마을 숲. 구림면 금천리 치천 마을은 480m 높이의 주산 아래에 자리 잡은 마을로, 마을 앞으로 구림천이 흘러가는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위치에 자리하였다. 마을 앞 구림천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게 아니라 남에서 북으로 거꾸로 흘러서 치천(淄川)이란 이름이 붙었다. 고려 후기 옥천 조씨(玉川趙氏)가 처음 터를...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에 있던 고을 숲. 순창읍의 지형은 북쪽에 이산과 금산 사이로 양지천을 끼고 넓은 들과 골짜기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북쪽 인계면 방향으로 툭 트여 있어 북쪽이 차갑고 좋지 않은 기운이 순창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풍수지리상 배산 임수를 적용하면 배산의 지형 조건을 갖추지 못하여 북향이 공허한 지세를 하고 있는 셈이다. 그리하...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목동리에 있는 풍수 비보적 목적으로 조성된 숲. 고려 말 마을 서쪽 700m에 서당동이라고 부르는 곳에 왕의 태실(胎室)이 있었는데, 지금은 태실은 없어지고 동자석만 남아 있다. 그래서 마을 이름이 언덕 능(陵) 자와 서당동의 동을 붙여 능동으로 불리다가, 1919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목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마을 형국이 와우(臥牛) 터라고 하...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반월리에 있는 풍수 비보적 목적으로 조성한 숲. 반월리는 마을이 반달 모양이라 하여 이름 붙었다. 마을의 형상이 와구복월(臥狗覆月)이라고 기록된 자료가 있는데, 누워 있는 개와 엎어진 달을 뜻한다고 한다. 월성 마을은 정유재란 이후에 형성된 마을로 이전에 신흥 마을이라는 큰 마을에서 사람들이 이주하여 생겨났다. 현재 신흥 마을 터는 농지...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 앞에 인공적으로 조성한 마을 숲. 산동리는 마을 가운데에 여근곡[바가지샘]이 있는 곳으로, 마을 앞은 경사가 심하고 툭 트인 넓은 골짜기의 들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은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의 지기(地氣)가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마을 앞에 비보 둑을 쌓고 그 위에 비보 숲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산동리 마을...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서마리에 있는 풍수 비보적 목적으로 조성한 숲. 마을의 형상이 서지주록(瑞芝走鹿)으로 상서로운 지초(芝草)를 바라보고 달려오는 사슴과 같다 하여 마을의 이름을 서지라 하였다고 한다. 풍수상으로 마을의 앞산이 복호(伏虎) 형상으로 호랑이가 개를 보고 쫓아가려는데 앞에서 사자가 버티고 있어[獅子仰天] 가지 못하고, 사자가 호랑이를 쫓아가려고 보니 바로...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수양리에 있는 비보 풍수적 목적으로 조성한 숲. 수양리(水楊里)는 조선 전기 순천 김씨(順天金氏)가 터를 정한 뒤, 마을이 '유지앵소(柳枝鶯巢)' 형상이나 버드나무 숲이 빈약하여 마을 앞 수구에 보비용으로 버드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꾀꼬리는 버드나무 가지에 당사실로 줄을 늘여 줄 끝에 집을 만드는 습성을 갖고 있는데, 대롱대롱 매달린 것...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심초리에 있는 풍수 비보적 목적으로 조성한 숲. 지푸실이라고도 부르는 순창군 인계면 심초리(深草里)는 매봉산[511m]을 기점으로 좌우에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깊숙한 골 안에 분지를 틀고 형성된 심심산골이다. 심초리는 마을 이름 그대로 깊은 골짜기에 초목이 무성하고 울창하여 인계면, 적성면, 유등면 일대에서 땔나무를 구하기 위해 찾았던...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양신리 양사 마을 입구에 수구막이용으로 조성된 숲. 수구막이는 마을 앞쪽 수구가 공허하여 마을 지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풍수지리적인 장치물이다. 쌍치면 양신리는 상신 마을, 양사 마을, 서판이 마을, 담자굴 마을, 새터굴 마을 등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지금은 양사 마을만 취락을 이루고 있다. 서판이 마을, 담자골 마을에서 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