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 있던 우물. 바가지우물이라는 이름은 우물의 수량이 풍부하여 두레박을 사용하지 않고 우물가에 있던 조롱박과 같은 바가지만으로도 물을 떠서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이런 연유로 우리나라에는 바가지우물이라는 이름을 가진 우물이 많이 있다. 바가지우물은 여느 우물처럼 돌로 쌓아 올려 만든 곳이었다. 구로구 오류동에 있던 바가지우물은 수백 년 전에 축...
-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배경으로 하여 이장호가 최일남의 소설 『우리들의 넝쿨』을 각색해 제작한 영화. 「바람 불어 좋은 날」은 소설가 최일남의 소설 『우리들의 넝쿨』을 각색하여 영화화한 작품이다. 1976년 대마초 혐의로 활동을 중단한 이장호의 첫 재기 작품이며, 안성기는 1957년 김기영의 「황혼열차」에서 아역을 맡은 후 「바람 불어 좋은 날」로 복귀하여 성인 배우로서의 전환에 성공...
-
조선 후기 구로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자수(子秀)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인 취성군(鷲城君) 이영(李潁)의 딸과 혼인한 박철정(朴鐵貞)의 증손자이다. 박철정은 연산군 때 부평으로 내려와 죽산박씨(竹山朴氏)의 입향조(入鄕祖)가 되었다. 박기남(朴奇男)은 1559년(명종 14) 박문보(朴文輔)의 큰아들로 출생하였다. 박기남은 임진왜란 때 경상도에서 왜적...
-
조선 후기 시흥현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 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박응복(朴應福)이다. 박동량(朴東亮)[1569~1635]은 1569년 시흥[현 서울특별시 구로구·금천구 및 경기도 시흥 일대] 지역에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여 이듬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부정자로 등용되...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진(子眞). 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박응복(朴應福)이다. 박동망(朴東望)은 유조인(柳祖認)의 문인으로, 1594년(선조 2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승문원을 거쳐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대교·봉교 등을 역임하고 지평이 되었다. 이어 평산부사·신천군수·강화부사 등을 지내고, 성균관직강으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하...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수(子粹), 호는 서포(西浦). 할아버지는 사간을 지낸 박소(朴紹)이고,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역임한 박응천(朴應川)이다.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 아들이다. 박동선(朴東善)[1562~1640]은 28세 때인 1589년(선조 22)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이...
-
조선 전기 부평도호부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고령박씨 시조 박언성(朴彦成)의 13세손으로, 감사공파(監司公派) 중시조인 박광우(朴光佑)의 2세손이다. 아버지는 태종 대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지평을 지낸 박미생(朴美生)이다. 부인은 부평유씨(富平柳氏)로 군수를 지낸 유한(柳閑)의 딸이고, 아들은 박처륜(朴處綸)이다. 박사란(朴思爛)은 부평[현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포함한 인천...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도(汝道).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한 박호(朴濠)이고, 어머니는 신흠(申欽)의 딸이다. 박세모(朴世模)[1610~1667]는 1630년(인조 8)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45년(인조 23)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세마(洗馬)를 지내고, 1654년(효종 5) 춘당대정시에 갑과로 급제하여 전적, 병조좌랑, 정언,...
-
서울특별시 구로구 지역에서 활동한 노동운동가. 노동운동은 근대적인 임금노동자 계급이 생활 조건을 유지·개선하기 위하여 전개하는 조직적인 운동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 경제개발 계획이 추진됨에 따라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노동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빈부 격차가 심화되었고, 노사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정부의 노사 개입이 이루어졌다. 이에 노동운동은 임금 인상, 근로 조건 개선,...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의병장. 본관은 순천(順天). 호는 화천당(花遷堂). 박춘무(朴春茂)는 찰방(察訪)을 거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사(倡義使)가 되어 의병을 일으키고, 조헌(趙憲)과 함께 호서 지방을 지키는 데 큰 활약을 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는 임천군수와 인천부사를 역임했으며, 1598년(선조 31)에는 지금의...
-
조선 후기 부평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경구(景久), 호는 회와(悔窩)·일우(一愚)·송담(松潭). 아버지는 부승지를 지낸 박세성(朴世城)이다. 박태원(朴泰遠)은 1689년(숙종 15) 증광시에서 진사 3등으로 합격하였다. 같은 해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되자 성균관 유생들을 이끌고 이를 적극 반대하였다. 1697년(숙종 23) 휘릉참봉을 거쳐 1702년(...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중량(仲良), 호는 인재(忍齋). 증조할아버지는 박원(朴垣)이고, 할아버지는 박세기(朴世基)이다. 아버지는 금창부위(錦昌副尉)를 역임한 박태정(朴泰定)이며, 어머니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딸인 경녕궁주(慶寧宮主)이다. 박필명(朴弼明)은 1697년(숙종 23)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예문관의 검열과 봉교를 역임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배경으로 하여 이창동이 제작한 영화. 「박하사탕」은 ‘박하사탕’이라는 추억이 담긴 소재를 통해 20여 년의 한국 현대사를 다룬 영화이다. 첫 장면은 ‘가리봉동우회’의 야유회 장소로 시작되며, 그 장소는 영화의 끝 장면에서 다시 등장한다. 구로구 가리봉동은 영화 속 주인공이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자 젊음을 시작한 곳이다. 1999년 제4회 부산영화제 개막작...
-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인. 박한상(朴漢相)은 1922년 4월 25일 서울에서 출생하여 2001년 사망하였다. 박한상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중앙고등군법회의 검찰관, 『법률평론사』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1967년, 1971년에 실시한 제6, 7, 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영등포 을 선거구[현, 구로구가 영등포구에 속하여 있을 때 오류동...
-
2008년 시인 김사이가 구로공단 노동자를 소재로 지은 현대시. 「반성하다 그만둔 날」은 구로노동자문학회 출신인 김사이의 첫 번째 시집으로 2008년 실천문학사에서 발행한 『반성하다 그만둔 날』에 수록되어 있는 표제 시이다. 총 3연 18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만난 사람들 속에서 술을 마신다/말을 새로 배우듯 조금씩 취해가며/자본가와 노동자를 얘기하다가/비정규직 부당해고에 분...
-
조선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숙하(叔夏), 호는 반주(盤州). 아버지는 광해군 때 사마시에 합격하고 행배천군수[行白川郡守]를 지낸 정유(鄭維)이다. 1657년(효종 8) 시행된 식년시(式年試)에 진사(進士)로 합격하였다. 1658년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시작으로 연원찰방(連源察訪)을 비롯한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형조좌랑을 역임한 뒤 파직되었...
-
서울특별시 구로구 소재 학교들을 중심으로 정규 교육 과정 시간이 끝난 후에 운영되는 교육 프로그램. 구로구에 있는 23개 초등학교, 12개 중학교, 12개 고등학교 모두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23개 초등학교에서는 종일 돌봄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자신의 특기와 적성을 고려하여 참가할 수 있는 특기 적성 교육, 교과 학습의 보충 교육, 교과 심화 교육 및 독서...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기계의 도움으로 익명의 집단 혹은 대중에게 음성과 영상을 통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대중 매체의 총칭. 방송은 관련 정보를 전파를 통해 전달하는 일종의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하나로서, 법률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고 이를 시청자에게 전기 통신 설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의 방송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2월...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이세분의 묘소. 이세분(李世芬)은 이계손(李季孫)의 장남으로 자(字)는 방숙(芳叔)이다. 1438년(세종 20) 에 태어나 1500년(연산군 6)에 사망하였다. 1459년(세조 5)에 무과에 올라 금아(禁衙)에 소속되었다. 성종 초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기록되기도 하였으며, 관직은 사복시정(司僕侍正)에 이르렀다. 그가 죽자 연산군이...
-
서울특별시 구로구 및 시흥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방아 찧으며 부르는 노동요. 「방아타령」은 방아 찧는 일의 즐거움과 흥겨움을 노래하고 있으며, 특히 “어허다 아라리아라” 뒷소리는 구로 지역의 독특한 생활 문화와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개 ‘방아’와 관련 있는 「방아타령」과 「방아 노래」는 고되고 신산스러운 노동을 표현하는 노동요이나 때로는 성적인 내용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기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에 있던 조선시대 다리 터. 구로구 고척동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와 안양시, 강화 사람들이 안양천을 경계로 서울 지역 사람들과 생필품 및 농산물 등을 교환하거나 판매하던 곳이다. 이곳은 목동 신시가지 개발 이전에는 김포평야의 일부분이어서 방앗간이 많았고 사람들이 많이 모여 상업이 번성하여 늘 방아 찧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방앗간 앞에는 안양천 지류...
-
조선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백규(伯圭), 호는 추담(楸潭)·운계(雲溪). 아버지는 서윤 유여해(兪汝楷)이다. 유창(兪瑒)[1614~1692]은 1635년(인조 13)에 생원이 된 뒤 1650년(효종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53년 세자시강원설서를 거쳐 이듬해에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55년(효종 6)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과 고척동을 잇는 도로. 오류초등학교 뒷산 너머에 잣절약수터가 있는데, 잣절[백사리(柏寺里)]이라는 명칭은 옛날에 이 일대에 잣나무가 많고 절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이 명칭을 따서 잣절길이라고 하였다. 2010년 현재 잣절길은 구로구 개봉동과 구로구 고척동의 잣절마을 인근에 있는 소로로서, 오류초등학교 뒷산 너머 남부순환도로변에 있다. 마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1동에 있던 자연마을. 잣절은 옛날에 잣나무가 많고 또 절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백사리(栢寺里)라고도 하였다. 잣절에서 거성푸르뫼아파트가 있는 산등성이를 넘어 남쪽의 오류초등학교로 가는 고개를 옛날에는 잣절고개라 불렀다. 과거 잣절은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집성촌이었다. 잣절의 현 위치는 오류초등학교 뒷산 너머 남부순환도로 변이다.잣절 뒷산에는 잣절...
-
조선 후기 시흥현으로 낙향한 문인.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순보(純甫), 호는 오헌(傲軒). 할아버지는 백검(白儉)이고, 아버지는 가선대부첨지중추부사를 지낸 백시채(白時采)이다. 아들은 백사민(白師敏)이다. 백상형(白尙瑩)은 서울에서 살다가 시흥현[현 서울특별시 구로구·금천구 및 경기도 시흥 일대]에 정착하였다. 이후 면포정(面圃亭)이란 정자를 지은 뒤 그 앞에 작은 연못 2개...
-
조선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야(白也), 호는 악남(岳南). 아버지는 이효준(李孝俊)이다. 1642년(인조 20) 사마시(司馬試)에 생원으로 합격하였고, 이어 1649년(인조 2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학정(學正)과 정언(正言)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어 1654년(효종 5)에 인조의 후궁인 조숙원(趙淑媛) 문제를 논하다가 영산(靈...
-
고려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문장가. 이규보(李奎報)[1168~1241]는 현재의 부평 지역 지방관인 계양도호부사를 지낸 인물이다. 이때 관장하던 지역이 현재의 구로구 일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관직에서 은퇴 후 현재의 금천구 인근에서 은거하였다고 전하는데, 1995년 구가 나뉘기 전에는 구로구에 속하였다. 본관은 황려(黃驪).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할아버지는 이사정(李思正)이고, 아버지는 이경(李坰)이며, 어머니는 남휘주(南輝珠)의 딸 영양남씨(英陽南氏)이다. 부인은 첨서중추원사(簽書中樞院事)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의 딸이며,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 윤자당(尹子當)과는 동모이부(同母異父)의 형제이다. 이숙번(李叔蕃)[1373~1440]은 1...
-
조선 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백익(伯益), 호는 안분당(安分堂).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극문(李克文)이다. 이희보(李希輔)[1473~1548]는 1501년(연산군 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연산군 때 홍문관수찬·이조정랑·내수사별제(內需司別提)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지금의 구로 지역을 통괄하는 부평부사를 역임하였다. 1506년(중종...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아기가 태어난 날로부터 100일이 되는 날 치르는 잔치. 백일(百日)은 아기가 태어난 날로부터 꼭 백 일째 되는 날에 잔치를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아기가 태어나 백일까지 기르기가 매우 힘들고 어려웠기 때문이다. 백일을 맞이한 아기에게 어려운 고비를 넘기고 무사히 자란 것을 대견하게 여겨 이 날을 축복하며, 앞으로 무병장수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백일 상...
-
삼국시대 구로 지역을 지배했던 고대 국가. 백제는 마한(馬韓)의 소국 가운데 하나인 백제국(伯濟國)에서 태동하였다. 그 중심지는 오늘날 서울의 송파구 일대였으리라 추정되고 있다. 삼한시대 『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한전(韓傳)에 따르면 마한은 약 50여 개의 소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지역은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지역을 포괄하고 있었다. 백제는 이러한 마...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풍속. 백중은 음력 7월 보름에 남녀가 모여 온갖 음식을 갖추어 놓고 노래하고 춤추며 즐겁게 놀았던 풍속이다. 이를 백종일(百種日),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 등이라고도 한다. 백종은 이 무렵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
고려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 아버지는 경산부(京山府) 이속(吏屬)인 이장경(李長庚)이다. 장인은 정윤의이며, 경산부에 부임해 일하는 그의 사람됨을 보고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이조년(李兆年)[1269~1343]은 충렬왕·충선왕·충숙왕·충혜왕 4대에 걸쳐 왕을 보필한 문신이다. 1294년(충렬...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의 지명 형성과 관계있는 버드나무과의 낙엽 교목. 구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버드나무 이외에 구로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자라거나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버드나무의 생태는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구로구가 도시화되어 건물과 도로가 들어서며 대부분의 식물이 재정비되어 관리되는 과정에서 버드나무 역시 도시 녹지 형성과 도시 경관 가꾸기의 일환으로 가로수로 심었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3동과 경기도 광명시를 잇는 도로. 종래에 버드나무가 많이 있어 버들길이라고 칭한 것으로 보인다. 길이는 800m이고, 폭은 7m이며, 왕복 2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2010년 현재 버들길은 개웅산 자락에서 경기도 광명시 철산2교에 이르는 길목으로,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전형적인 1970년대형 주택가 아스팔트 도로이다. 철산2교를 기점으로 90m 지점에...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의 지명 형성과 관계있는 버드나무과의 낙엽 교목. 구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버드나무 이외에 구로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자라거나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버드나무의 생태는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구로구가 도시화되어 건물과 도로가 들어서며 대부분의 식물이 재정비되어 관리되는 과정에서 버드나무 역시 도시 녹지 형성과 도시 경관 가꾸기의 일환으로 가로수로 심었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1동에 있는 농업 박물관. 경서농협 농업박물관은 버들민속박물관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버드나무가 많아 ‘버들’로 불렸다는 오류동의 옛 지명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장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농업 문화유산을 후세들에게 보여 주고 우리 농업과 농촌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8년 12월 19일 경서농협 오류지점 이기홍 조합장이 모아두었던 농경 생활...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1동에 있던 자연마을. 현재의 오류역 앞 마을로, 이곳에 버드나무가 많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버들이마을은 경인선이 개통된 뒤 오류역이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면서 생긴 마을이다. 역 앞에서 광장 역할도 하고 또 마을의 쉼터 노릇도 하였기 때문에 이곳을 보다 운치 있게 조성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때 이 일대에는 성장이 빠른 버드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 있는 도로. 오류동성당 뒤쪽 언덕에 잣절고개로 이어지는 산등성이를 오르는 길목이 있었는데, 그곳에 있던 큰 바위 2개가 범의 형상을 띠고 있어 범바위길이라고 이름 붙였다. 길이는 경인대로를 기점으로 하여 250m 이내이다. 2010년 현재 범바위길은 구로구 오류동 27번지에서 구로구 오류동 31번지[경인로25길 14-7]를 지나는 비탈진 골목길로서, 오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에 있는 대한불교 법연종 소속의 사찰. 1992년 12월 4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법화선원을 개원하면서 승려 조연이 법연종을 창종하였다. 법연종의 핵심 사상은 연(然) 사상이며, 그 핵심 요체는 만법일본(萬法一本), 만법귀연(萬法歸然)이다. 즉 모든 종교가 하나이며, 모든 법은 결국 자연법에 귀속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법연원은 조연 큰스님의 가르침에...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에 있는 대한불교 법연종 소속의 사찰. 1992년 12월 4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법화선원을 개원하면서 승려 조연이 법연종을 창종하였다. 법연종의 핵심 사상은 연(然) 사상이며, 그 핵심 요체는 만법일본(萬法一本), 만법귀연(萬法歸然)이다. 즉 모든 종교가 하나이며, 모든 법은 결국 자연법에 귀속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법연원은 조연 큰스님의 가르침에...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을 거쳐 금천구청역까지 연결되는 도로. 벚나무 가로수가 봄철에 만개하여 10리[약 4㎞]에 이른다는 뜻으로 벚꽃십리길이라고 이름 붙였다. 길이는 3.7㎞이고, 폭은 11m이다. 차도는 최대 왕복 4차선, 구간별 2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벚꽃십리길은 경부선 철도와 평행하게 달리는 길로서, 철도 부설 과정에서 건설된 도로이다. 철로변의 정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교 소속 교회. 1964년 1월 12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구로동 227호의 개인 주택에서 곽전태 목사[당시 전도사]인도로 창립예배를 보았다. 1974년 교회 개척 10년 만에 낮 예배 참석 인원 1,000명을 돌파하였고, 1976년부터 교인의 급증으로 3부 예배를 편성하기 시작하였다[1부: 7시, 2부 9시, 3부 11시]. 1980...
-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에 있는 특수 학교. 성베드로학교는 지적 장애 학생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 교과 학습 능력과 체력을 키우고, 정서적 안정과 성숙을 바탕으로 잠재적인 생활 능력을 길러 주며, 나아가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회 적응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지적 장애 학생들이 자유롭게 생각하고 마음껏 뛰놀며 꿈과 사랑을 함께 키워 나가는...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벤처 산업 전문 연구 기관. 벤처 기업은 ‘위험성이 매우 높지만 성공할 경우 상당한 기대 이익이 예상되는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위험성이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함에 있어서의 기술적 성공 여부와 이를 사업화하는 과정에서의 사업적 성공 여부에 수반되는 실패의 위험성을 포함한다. 벤처 기업은 첨단 기술 기업, 신기술 기반 기업, 모험 기업 등 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에 있는 경제 단체. 벤처기업협회는 대한민국 벤처 기업들의 상호 교류를 촉진하고, 벤처 기업들의 기업 활성화와 기술 혁신을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로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고자 설립되었다. 1995년 10월 26일 벤처 기업 21개사가 모여 발기인 대회를 연 뒤 1996년 12월 2일 벤처 기업과 산업계·학계·정부의 벤처 기업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디지털1단지에 위치하고 있는 벤처산업 관련 단체. (사)벤처산업협회는 벤처기업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구로구에 대한민국 벤처기업들의 기업 활성화와 기술 혁신을 통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기 위해 설립된 사단 법인으로 약칭은 KOVA이다. 1995년 10월 26일 벤처기업 21개사가 모여 발기인대회를 연 뒤 1996년 12월 2일 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에 있는 경제 단체. 벤처기업협회는 대한민국 벤처 기업들의 상호 교류를 촉진하고, 벤처 기업들의 기업 활성화와 기술 혁신을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로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고자 설립되었다. 1995년 10월 26일 벤처 기업 21개사가 모여 발기인 대회를 연 뒤 1996년 12월 2일 벤처 기업과 산업계·학계·정부의 벤처 기업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서 매년 10월 구로구청 주관으로 개최되는 마라톤 대회. 벤처인넥타이마라톤대회는 과거 굴뚝 산업의 중심지로서 공단 이미지를 갖고 있던 구로구가 첨단 디지털 산업 중심지로 변모하였다는 것을 알리자는 취지로 2003년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벤처인넥타이마라톤대회는 구로구청을 출발하여 가마산길, 도림천로, 구로3동주민센터를 거쳐 구로중학교까지의 4㎞ 구간을 넥...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 있는 산. 벽산은 일반적으로 풀과 나무가 무성한 푸른 산을 말한다. 구로구의 벽산이 풀과 나무가 무성하여 벽산이라 불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유래는 찾을 수 없으나, 산이 낮고 원만한 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어 동그란산이라 불리기도 하고, 마치 시루를 엎어놓은 것과 같이 생겼다 하여 시루봉이라고도 불린다. 또 온수역이 인근에 있어 철길 옆에 위치한 산이라는 뜻...
-
조선 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하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지(誠之), 호는 오정(梧亭). 할아버지는 변희전(卞希詮)이고, 아버지는 변건원(卞乾元)이며, 어머니는 김침(金琛)의 딸이다. 변삼근(卞三近)[1579~1648]은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종사랑·통사랑·무공랑·선무랑의 관직을 거쳐, 1613년(광해군 5)에는 정6품인 승훈랑이...
-
서울특별시 구로구 출신의 교수이자 문학가. 호는 수주(樹州)이다. 1897년(고종 34) 5월 9일 아버지 변정상(卞鼎相)과 어머니 강재경(姜在卿)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1961년 3월 14일 사망하였다. 외교관 변영태와 법률가 변영만이 그의 형들이다. 변영로(卞榮魯)는 1920년대 감상적이며 병적인 허무주의에서 벗어나 시를 언어예술로 자각하고 기교에 중점을 두었다. 서울...
-
일제강점기 구로 지역 출신의 법률가이자 교수. 자는 곡명(穀明), 호는 산강재(山康齋) 또는 삼청(三淸)이다. 1889년(고종 26) 서울에서 출생하여 1954년 사망하였다. 외교관 변영태와 시인 변영로가 동생들이다. 변영만(卞榮晩)은 일찍부터 한학을 공부하였으며, 1905년 관립법관양성소에 입학, 다음해에 졸업한 뒤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하여 학업을 계속하였다. 1908년 법관이 되...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구로 지역 출신의 정치인. 호는 일석(逸石)이다. 1892년(고종 29) 서울에서 출생하여 1969년 3월 10일 사망하였다. 형은 변영만(卞榮晩)[1889~1954], 동생은 변영로(卞榮魯)[1898년 5월 9일~1961년 3월 14일]이다.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의 밀양변씨(密陽卞氏) 묘역에 변영태의 묘가 있다. 삼형제의 묘가 나란히 있는데 가운데 변영...
-
조선 전기 부평도호부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원(子元). 밀양변씨 시조 변고적(卞高迪)의 14세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변중량(卞仲良)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지풍주사를 지낸 변길상(卞吉祥)이며, 할아버지는 판사헌감사를 지낸 변을명(卞乙明)이다. 아버지는 우군사정을 지낸 변예생(卞禮生)이다. 산음현감 안진손(安震孫)의 딸 이천안씨(利川安氏)와의 사이에 변강지(卞綱之)·...
-
구로비전 2020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수립한 구로구 장기 발전 종합 계획으로, 도달 가능한 비전 수립, 2020년 미래상 구현을 위한 부문별 발전 전략 마련, 공간 구조 개편 및 합리적 토지 이용 방안 수립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구로비전 2020의 시간적 기준 연도는 2005년, 목표 연도는 2020년이며, 단계별 목표 연도는 1단계 2006년에서 2010년, 2단계 20...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주민들이 탈을 쓰고 행하는 놀이. 탈놀이는 얼굴에 탈을 쓰고 하는 민속놀이이다. 이는 가면극, 탈춤, 산대놀이, 오광대, 야유탈놀이, 별신굿 놀이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탈이란 얼굴을 감추기 위하여 종이·나무·흙 따위로 얼굴 모양을 본떠서 만든 가장물(假裝物)이다. 한국 가면은 대부분 그 형모(形貌)가 기괴하고 익살맞으며, 색채가 아주 짙은 것이 특징이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행해지는 제반 활동. 구로구의 보건 의료 서비스는 구로구 보건소와 구내 574개의 의료기관 업소, 514개의 약업소 등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주요 업무는 약물 오남용 예방, 감염병 예방, 방역 소독, 건강 검진, 구강 보건 등의 진료 업무이다. 구로구에서는 안전 식품 섭취에 대한 구민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도로. 도로가 지나는 중간에 구로구 보건소가 위치해 있어 보건소길이라고 이름 붙였다. 길이는 약 1.35㎞이고, 폭은 최대 16m, 최소 7m이다. 최대 왕복 4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2010년 현재 보건소길은 경부선 철도변에서부터 도림천까지 이르는 길로서, 구로구 구로동 467번지에서 구로구 구로동 43번지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최근 구로구는 불...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 동부제철 서울제강소 뒤쪽 철도변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 뒤쪽으로 보름뫼라는 산이 있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또는 정월 보름날 마을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와 달을 향해 소원을 빌고 쥐불놀이를 했으므로 보름뫼라고 하였다. 그 뒤 음이 변하여 보롱메가 되었는데 봉화산의 끄트머리 쪽에 해당된다. 보름뫼는 개웅산 아래 있다고 하여 개웅마을이라 전해지고 있...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먹는 풍속. 부럼깨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까서 먹는 잣·호두·밤·땅콩 등과 같이 단단한 견과(堅果)를 말한다. 이를 ‘부름’, ‘보름’이라고도 한다. 부럼의 어원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과종(果種)들을 총칭하여 ‘부름’이라고 보는 것과, 다른 하나는 부스름의 준말로 ‘부럼’이라 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 동부제철 서울제강소 뒤쪽 철도변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 뒤쪽으로 보름뫼라는 산이 있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또는 정월 보름날 마을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와 달을 향해 소원을 빌고 쥐불놀이를 했으므로 보름뫼라고 하였다. 그 뒤 음이 변하여 보롱메가 되었는데 봉화산의 끄트머리 쪽에 해당된다. 보름뫼는 개웅산 아래 있다고 하여 개웅마을이라 전해지고 있...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보현정사 포교원은 1995년 승려 재욱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오랫동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칠보사에서 선불교에 정진하던 승려 재욱은 실천을 중심으로 한 부처의 가르침을 주민들과 함께 나누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서울에서 낙후된 지역 가운데 하나인 구로구 항동에 보현정사 포교원을 세워 포교 활동을 펴기 시작하였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초복·중복·말복에 행하는 세시 풍속. 삼복은 음력 6월과 7월 사이의 절기로, 일 년 중에서 날이 가장 덥다는 날로 초복과 중복, 말복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이를 복날이라고도 한다. 이 날은 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산이나 계곡으로 피서를 가는 풍습이 있다. 하지 다음 제3경일(庚日)을 초복, 제4경일을 중복, 입추 후 제1경일을 말복이라고 하는데,...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로고스 노회 소속 교회. 복음제일교회는 그리스도교의 신앙 공동체로서, 기독교를 믿는 신자의 집단 또는 집회소로 기존 교단에 속하지 않고, 자유로이 개척 교회의 독립성과 자율성, 즉 교회의 자치권과 행정을 독립적으로 운영해 가는 교회이다. 복음제일교회는 돈만 있으면 다 된다는 물질 만능 시대에 경제만 가지고는 우리 인간의 근본...
-
조선 후기 금천현 출신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복이(復而), 호는 월당(月塘)·삼당(三塘). 아버지는 이조참의를 지낸 강찬(姜燦)으로, 큰아버지 강순(姜焞)에게 입양되었다.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빈(嬪)인 민회빈(愍懷嬪) 강씨(姜氏)의 아버지이다. 강석기(姜碩期)[1580~1643]는 김장생(金長生)의 제자로 1616년(광해군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
조선 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복초(復初), 호는 송천(松泉).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 최항(崔恒)이며, 할아버지는 최영호(崔永灝)이다. 아버지는 전첨(典籤) 최수진(崔秀珍), 어머니는 이세신(李世臣)의 딸이다. 최흥원(崔興源)[1529~1603]은1555년(명종 10) 소과를 거쳐 1568년(선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장령(掌令)·...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지정되어 있는 5곳의 봄길 테마 거리. 구로구는 2006년 4월 13일 구로 주민들이 봄을 만끽하고 시골의 정취를 감상할 수 있는 가장 걷고 싶어 할 만한 거리 5곳을 선정해 발표하였다. 구로구가 발표한 ‘봄길 베스트5’는 구로구 구로5동에 있는 구로거리공원의 벚꽃길과 고척2동에 있는 계남근린공원의 소나무길, 안양천 제방 신정교~고척교 구간의 개나리·벚꽃길, 항...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지정되어 있는 5곳의 봄길 테마 거리. 구로구는 2006년 4월 13일 구로 주민들이 봄을 만끽하고 시골의 정취를 감상할 수 있는 가장 걷고 싶어 할 만한 거리 5곳을 선정해 발표하였다. 구로구가 발표한 ‘봄길 베스트5’는 구로구 구로5동에 있는 구로거리공원의 벚꽃길과 고척2동에 있는 계남근린공원의 소나무길, 안양천 제방 신정교~고척교 구간의 개나리·벚꽃길, 항...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구로 지역에서 사용한 통신 수단. 봉수는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하는 통신 수단으로, 우역제(郵驛制)와 더불어 신식 우편과 전기 통신이 창시되기 이전의 전근대 국가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보편적인 통신 방법이었다. 역마(驛馬)나 인편보다 시간적으로 단축되었고, 신속한 효용성을 발휘하여 지방의 급변하는 민정 상황이나 국경...
-
조선 후기 시흥현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 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박응복(朴應福)이다. 박동량(朴東亮)[1569~1635]은 1569년 시흥[현 서울특별시 구로구·금천구 및 경기도 시흥 일대] 지역에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여 이듬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부정자로 등용되...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개봉3동·천왕동에 걸쳐 있는 산. 개웅산이라는 명칭은 인접한 마을의 지형이 움푹 들어간 관계로 난리가 날 때마다 총탄이 개웃개웃 피해 가서 개웅마을이라 불렀고, 산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이 산에서 봉화를 올렸다 하여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부른다. 봉화란 밤에 불을 피워서 신호를 삼는 통신 수단을 말하는데 3·1운동 당시에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1동 가린열 북쪽에 있던 자연마을. 뒷산인 가녈봉[일명 갈탄봉]을 부누꿀 뒤쪽에 있는 산이라고 하여 부누꿀산이라고도 불렀다. 부누꿀은 지금의 성아단지 아래쪽 개봉노인정과 개봉1동 새마을금고가 있는 지역이다. 옛날에는 이 지역이 구릉지로 자두밭이었는데, 매립하여 성아단지가 조성되었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2동에 있는 나지막한 산. 갈탄봉이라는 명칭은 산 앞의 가린열마을에서 유래되었다. 가린열은 구로구 고척동과 경계가 되는 개봉동의 중앙에 위치한 곳으로 갈대와 여울이 많은 곳이라 하여 가린여울 또는 가린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후에 칡 넝쿨과 같이 여러 갈래의 개천 즉 개봉천·오류천·개웅천이 안양천과 합수되어 여울이 많으므로 갈탄(葛灘)이라 하였다고 한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과거 미군 부대에서 나온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 끓여 먹는 음식. 부대찌개는 의정부 미군 부대 근처 식당에서 처음 만든 음식으로, 군대의 찌개란 뜻이다. 6·25전쟁 직후 서울에서 일부 사람들이 의정부에 주둔하던 미군 부대에서 나온 핫도그, 깡통에 든 햄과 소시지 등 잉여 음식을 이용하여 우리식으로 고추장을 넣고 얼큰하게 끓여 먹은 데서 비롯되었다. 부대찌개가...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먹는 풍속. 부럼깨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까서 먹는 잣·호두·밤·땅콩 등과 같이 단단한 견과(堅果)를 말한다. 이를 ‘부름’, ‘보름’이라고도 한다. 부럼의 어원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과종(果種)들을 총칭하여 ‘부름’이라고 보는 것과, 다른 하나는 부스름의 준말로 ‘부럼’이라 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먹는 풍속. 부럼깨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까서 먹는 잣·호두·밤·땅콩 등과 같이 단단한 견과(堅果)를 말한다. 이를 ‘부름’, ‘보름’이라고도 한다. 부럼의 어원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과종(果種)들을 총칭하여 ‘부름’이라고 보는 것과, 다른 하나는 부스름의 준말로 ‘부럼’이라 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 가운뎃말에서 항동 항골로 넘어가던 고개. 항골고개는 고개와 인접한 구로구 항동의 옛 지명인 항골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항골이라는 지명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지세가 배 모양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이 일대가 바다처럼 물이 많아 배가 마을에 닿았던 곳이라는 데서 연유되었다고도 한다. 항동고개라고도 하였고, 항골고개가 있는 골짜기는...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 있는 도로. 도로 이름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난 도로명으로서, 큰 부엉이 집이 있었다는 주민들의 이야기에 따라 부엉이길이라고 이름 붙였다. 길이 358m이고, 폭은 4~5m이다. 2010년 현재 부엉이길은 구로구 오류동 14번지[고척로6길 11-15]에서 구로구 오류동 12번지에 이르는 전형적인 주택가 아스팔트 진입 도로이다. 오류동삼거리에서 금호어울림...
-
1987년 12월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구청에서 일어난 부정 선거 항의 농성. 1987년 12월 16일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역대 선거보다도 뜨거운 열기 속에서 치러졌다. 6월 항쟁이 만들어 낸 대통령 직선제이니 만큼 국민들의 참여도 매우 높았다. 이제 막 선거권을 얻은 젊은이부터 거동이 불편한 노인까지 국민 스스로 대통령을 뽑는다는 자부심과 책임감에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아침...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에 지내는 민속 명절. 사월초파일은 석가모니의 탄생일을 말하며, 이날을 ‘부처님 오신 날’, ‘연등회’ 등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 날에는 등불을 켜기 때문에 ‘등석’이라고도 불린다. 사월초파일 며칠 전부터 옛 구로의 민가에서는 각기 등대를 세우고 위쪽에 꿩의 꼬리를 장식하고 채색 비단으로 깃발을 만들어 단다. 작은 집에서는...
-
1914년부터 1973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조선총독부는 1914년 3월 1일 부(府)·군(郡)을 폐합하였고, 4월 1일에는 면(面)의 폐합을 단행하였다. 그 기준으로 부는 조계지(租界地)를 포함하여 시세 시행 지역과 동일하게 하였고, 군은 면적 약 40방리(方里)에 인구 약 1만 명, 면은 면적 약 4방리에 800가구로 하여 전국을 12부 220군 2,522...
-
1914년부터 1931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일제강점기의 행정 구역. 부천군 계남면은 1914년 신설된 부천군의 15개 면 가운데 하나로 계양산 남쪽 마을 내지 동리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부천군 계남면은 1914년 시행된 일제의 지방 행정 체제 개편 방침에 따라 신설되었다. 일제는 식민 통치의 효율적 진행을 위해 군·면 통폐합을 단행하였는데, 군과 면의 수를 줄여 지방 행정...
-
일제강점기 구로 지역에서 일어난 항일 운동. 옛 구로 지역에 포함되어 있던 부천군 계남면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에 항거하여 독립을 요구하며 벌였던 항일 만세 운동이다. 1910년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침략하여 국권을 강탈하고 조선총독부를 설치, 식민지 통치를 시작하면서 민족에 대한 폭력과 핍박이 이어졌다. 또한 회사령 실시로 민족 자본가의 발전을 가로막고, 토지 조사 사업으로...
-
1931년부터 1941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일제강점기의 행정 구역. 1914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부령 제111호에 따라 부천군이 신설되었고, 이때 신설된 부천군의 15개 면 가운데 부천군 계남면은 기존 부평군의 석천면·수탄면·옥산면을 통합하여 새롭게 설치되었다. 이후 1930년 12월 읍제(邑制)가 제정되었고, 1931년 4월 1일부터 시행됨으로써 지방 제도 전반에 걸친...
-
조선 전기 문신 허봉이 부평의 객관을 소재로 지은 한시. 「부평객관(富平客館)」은 허봉(許篈)[1551~1588]이 1949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전 구로구의 일부 지역이었던 부평군의 어느 객관에서 쓴 한시로, 『하곡집(荷谷集)』 ‘시초보유(詩抄補遺)’에 수록되어 있다. 허봉은 함경도 갑산에 유배되었다가 돌아온 후 인천과 부평 간을 오가며 생활하였는데, 이 작품은 인천으로 가는...
-
1927년경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소작료 인상에 대항하여 결성된 일제강점기의 농민 조합. 1920년대 이후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농민 단체로는 북도부민회(北島富民會), 부천군농회, 부평농민조합, 삼도어민연합어업조합, 경기도 농촌진흥위원회 등이 있다. 부평농민조합은 농민 간의 친애를 바탕으로 위난을 극복하고, 농사를 개량하여 농촌의 개발 향상에 기여한다는 목적 아래 설립되었다. 19...
-
1413년부터 1895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 1454년(단종 2)년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당시 부평(富平)은 “서쪽으로 대해(大海)까지가 10리, 남쪽으로 인천까지가 10리, 북쪽으로 김포까지가 10리다. (중략) 호수(戶數)가 429호, 인구가 954명,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0명, 선군(船軍)이 128명이었다”라고...
-
박장환이 계양산과 자연을 소재로 지은 한시. 「부평고시(富平古詩)」는 박장환(朴章煥)이 계양산 일대의 풍광을 노래한 오언고시(五言古詩)로서 계양산(桂陽山), 난포(蘭浦) 등 옛날 구로 문화권이었던 지역을 소재로 지은 전통시이다. 고시(古詩)는 고체시(古體詩)라고도 한다. 한문학 분야에서는 당나라 때의 시를 근체시(近體詩)로, 당나라 이전의 시들 특히 한대(漢代)의 시들을 고시라고...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근대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의 행정 구역.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전문 6조의 칙령 제98호에 따라 지방 제도의 일대 개혁이 단행되어 482년간 계속되어 온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 337군제가 시행되었다. 이때 종래의 부(府)·목(牧)·군(郡)·현(縣) 등이 대부분 군으로 통일되면서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는 부평군(富平郡...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근대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의 행정 구역. 1895년(고종 32) 5월 26일 개화파 정부는 지방 행정의 효율을 도모한다는 목적으로 지방 제도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는 농민 전쟁으로 폭발하였던 당시 향촌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 정부의 대응책이기도 하였다. 과다한 지방 관원의 수를 대폭 축소하고, 지방 행정 업...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구로 지역에 설치된 근대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의 행정 구역. 1895년(고종 32) 5월 26일 개화파 정부는 지방 행정의 효율을 도모한다는 목적으로 지방 제도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는 농민 전쟁으로 폭발하였던 당시 향촌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 정부의 대응책이기도 하였다. 과다한 지방 관원의 수를 대폭 축소하고, 지방 행정 업...
-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관할하였던 조선시대 부평도호부의 청사. 부평도호부관아는 조선시대 구로구를 관할하였던 행정 관청이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지방 행정 제도를 개혁하였을 때, 오류리·개봉리·고척리·천왕리·항리·온수리 및 궁리 지역 등 7개 리가 경기도 부평군 수탄면에 속하였다. 부평인터체인지에서 계양로 방면으로 직진해서 인천지하철 경인교대입구역을 지나면 오른편에 부평...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에 있던 자연마을. 부평말은 과거 부평군의 끝에 위치한 마을로 시흥군과 접해 있다는 뜻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현재는 세 가구 정도만 남아 있고, 작은 공장과 몇몇 음식점이 들어서 있다. 밭농사와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마을의 남쪽은 경기도 광명시에 접하고 있다....
-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부평도호부의 지리지. 『부평부읍지(富平府邑誌)』는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각 도 군읍의 읍지로, 구로구의 전신에 해당하는 수탄면(水呑面)을 비롯하여 기탄교(岐灘橋) 등의 지명이 수록되어 있다. 전국 읍지 상송령에 따라 1899년에 경기도 부평부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로 조선시대에 가장 늦게 편찬된 지리지이다. 1899년 편찬된 도지는 현재 온전하게 남아...
-
1872년(고종 9) 만들어진 경기도 부평부 지도. 흥선대원군은 병인앙요와 신미양요 이후 국방을 강화하고 치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고자 1871년(고종 8) 전국적으로 읍지를 편찬하였고, 이듬해에는 각 지방의 지도를 제작하였다. 「부평부지도(富平府地圖)」는 전국적인 지도 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경기도 지도 40장 가운데 하나이다. 한 장으로 이루어진 「...
-
조선 후기 문신 송국준이 민중의 곤궁한 삶을 소재로 지은 한시. 「부평촌속(富平村俗)」은 1949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전 구로구의 일부 지역이었던 부평군의 부평부사를 지낸 송국준(宋國準)[1588~1651]이 부사를 사임하고 인천에 낙향한 뒤에 다시 부평을 방문하여 지은 시이다. 그의 문집 『화방집(畵舫集)』에 실려 있다. 부역과 조세로 인해 가난하고 곤궁한 삶을 살아가는 민중...
-
1797년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태평성국을 소재로 지은 한시. 「부평행행시(富平行幸詩)」는 1797년(정조 21)에 정조(正祖)[1752~1800]가 김포의 장릉을 참배하고 계양산 경명현을 넘어서 부평 땅에 행차하였을 때 태평성국을 이루려는 자신의 의지를 밝힌 시이다. 부평은 1949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전 구로구의 일부지역이었다. 7언 절구의 금체시(今體詩)이다. 계양산색...
-
조선시대 구로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부평현(富平縣)은 본래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다. 조선시대의 지방 행정 체제는 부(府), 목(牧), 군(郡), 현(縣)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부에는 부, 대도호부(大都護府), 도호부(都護府)가 있었으며, 도호부는 인구가 밀집한 거대 읍(邑)이나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되었다. 부평도호부는 서울인 한양과 가까웠고, 바다와 한강 하류 지역에 접근하...
-
1985년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던 부흥사에서 구로동맹파업의 일환으로 일어난 노동 운동. 1983년 말 부분적 자유화 조치에 따른 일시적 유화 국면으로 노동 운동과 학생 운동이 점차 활발해졌다. 5공화국 정권은 이를 간과할 경우 1986년 아시안 게임, 1987년 대통령 선거 등 정권 유지를 위한 국가 행사를 추진하는 데 장애가 될 것이라는 판단 속에 유화적 통제 방식을 거두고 민...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부흥사 근무 노동자에 의하여 조직되었던 민주 노동조합. 부흥사는 봉제업체로서는 드물게 비교적 안정된 기업체였음에도 불구하고 작업 환경은 매우 열악하였다. 노동자의 초임은 2,240원에 불과하였으며, 본공이 되어도 초임이 2,460원밖에 되지 않아 임금 수준이 매우 낮았다. 또한 창문도 없는 방 하나에 10명에서 최대 25명까지 기거하며 외출에 통제를 받고, 기...
-
삼국시대 구로 지역을 관할하던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북한산주(北漢山州)는 지금의 구로 지역을 포괄하여 편재되었던 통일신라시대 한산주(漢山州)의 전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권4 신라본기 진흥왕 18년에 “신주(新州)를 폐하고 북한산주를 설치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사기』 권4 신라본기 진흥왕 29년에는 “겨울 10월에 북한산주를 폐하고 남천주(南...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석가모니를 교조로 삼고 그가 설한 교법을 종지(宗旨)로 활동하고 있는 종교. 구로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불교의 유입이 뒤늦은 편이다. 물론 공업 단지로 지정되어 인구 집중과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타 종교 단체들과 마찬가지로 불교 단체들도 초창기 공업 단지였던 구로동, 가리봉동,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지역을 중심으로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새롭...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활동하는 불교 관련 단체. 신라 말에 중국의 선종이 우리나라에 전파된 이래로 고려시대에 수많은 선승이 끊이지 않고 배출되면서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해서 선·교 양종을 통합한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특히 고려 말 지눌이 9산선문의 교를 통합하여 우리나라 불교의 정통인 조계종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불교의 주종은 선종이었...
-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공단 여공을 소재로 하여 김응천이 제작한 하이틴 영화. 「불타는 소녀」는 1970년대 구로공단의 가난한 여공을 소재로 하였지만, 현실의 어려움을 잘 극복해 나간다는 해피엔딩으로 이야기가 마무리 지어진다. 고교생과 얄개 시리즈 등 하이틴 영화 제작자로 유명한 감독 김응천 특유의 낙천적 이야기 구조로 영화가 진행된다. 1978년 1월 25일 개봉한 영화로 상영...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2동에 있는 장애인 보호 단체. 브니엘의 집은 의지할 곳 없는 중증 장애인들을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살아가는 장애인 생활 공동체로 묶어냄으로써 장애인 복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1997년 3월 5일 설립되었다. 브니엘의 집은 장애인들의 의식주를 보장하며 장애인들의 양적, 질적 삶의 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의식주 걱정 없이 서로를 감싸 주며, 따뜻한 사랑을...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지역 간 중·장거리 운행 버스. 서울특별시가 2004년 7월 1일부터 시행한 시내버스 운영 체계 가운데 구로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버스로 지역 간의 중·장거리 이동 수요를 담당하고 있는 기능별 노선버스이다. 1. 목적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도심 도로의 정체가 심화되고, 버스 운영 회사의 경영 구조의 문제로 버스가 대중 교통수단으로서의...
-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상징하는 구조(區鳥). 비둘기는 여전히 우리 인식 속에 ‘평화의 상징’으로, 화목한 집단생활을 영위하여 ‘화목한 가정’의 대표 명사로 인식되어 있다. 이에 구로구는 성격이 온순하고 평화를 상징하이며, 우리 주변에서 언제나 쉽게 볼 수 있는 점에서 구로구민 모두가 화목한 가정을 이루며 평화롭고 희망찬 구로구를 건설해 가자는 상징적 의미에서 비둘기를 구로구의 구조(...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교육 전문 기업. 비상교육은 교재 및 교과서 출판을 비롯해 온라인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12월 4일 교육출판 비유와 상징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주)비상교육 법인으로 전환되었다. 2008년 7월 진학에듀[현 비상에듀]의 지분 약 80%를 인수하여 사설 모의고사 사업에 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궁동저수지 근처에 있던 자연마을. 옛 마을 곳곳에는 세도가들이 그들의 조상과 자신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각종 비를 세워 놓은 거리가 있었다. 이 거리를 비선거리라 불렀는데, 그중에는 몇몇 권력층의 과시에 불과한 것들이 많았다. 탐관오리의 폭정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비선거리를 지날 때마다 울컥 솟아오르는 화를 참지 못해 비석을 발로 차기도 하였는데, 오늘날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궁동저수지 근처에 있던 자연마을. 옛 마을 곳곳에는 세도가들이 그들의 조상과 자신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각종 비를 세워 놓은 거리가 있었다. 이 거리를 비선거리라 불렀는데, 그중에는 몇몇 권력층의 과시에 불과한 것들이 많았다. 탐관오리의 폭정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비선거리를 지날 때마다 울컥 솟아오르는 화를 참지 못해 비석을 발로 차기도 하였는데, 오늘날의...
-
조선 전기 구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비연(斐然). 증조할아버지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장홍수(張洪壽)이며, 아버지는 충좌위사맹(忠佐衛司猛) 장철견(張哲堅), 어머니는 이저(李著)의 딸 양성이씨(陽城李氏)이다. 장계문(張季文)[1478~1543]은 유복자로 태어나 1504년(연산군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1519년(중종 14)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
1986년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연작 중 한 편으로 도시 하층민의 정직한 노동을 소재로 한 소설.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한다」는 도시 하층민의 정직한 노동과 삶의 애환을 통해 중산층의 허위의식을 고발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신뢰의 회복을 모색하는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연작 중 한 편이다.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한다」를 통해 우리는 인간에 대한 믿음을 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에 있던 화물 운송업체. 비티엑스코리아는 물류 인프라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문화되고 차별화된 서비스로 자동차 부품 물류의 SCM[공급망 관리]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2년 5월 대림화물로 설립되었다. 1995년 3월 대림터미널(주)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2004년 10월 (주)비티엑스코리아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11년 5월 사업장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빈우(賓羽), 호는 농재(聾齋). 아버지는 종친부전부령(宗親府典簿令) 오사겸(吳士謙)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한성서윤 이시중(李時中)의 딸이다. 오빈(吳䎙)[1602~1685]은 1632년(인조 10) 알성시(謁聖試)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도원찰방에 제수된 뒤 원수종사관(元帥從事官), 평안도도사, 호조·공조의 정랑을 거쳐...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 도시 간을 급행으로 연결하는 버스. 서울특별시가 2004년 7월 1일부터 시행한 시내버스 운영 체계 가운데 구로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버스로, 서울과 수도권 도시를 급행으로 연결하는 기능별 노선버스이다. 1. 목적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도심 도로의 정체가 심화되고, 버스 운영 회사의 경영 구조의 문제로 버스가 대중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