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주도회 좌통지도』 「청도군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331
한자 慶州都會左通地圖淸道郡地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양윤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규격 95×73㎝

[정의]

18세기 후반 제작된 『경주도회 좌통지도』에 포함된 청도 지역의 지도.

[개설]

18세기 중반 경상북도 청도군 일대 모습을 회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한 군현 지도이다. 지리 정보의 형상을 도형화하고, 산과 강, 사찰과 관아의 건물, 성곽, 봉화터 등 주요 건물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청도군의 모습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편찬/간행 경위]

대부분의 고지도에는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경주도회 좌통지도(慶州都會 左通地圖)』의 경우 중앙에서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와 유사한 형식으로 제작된 지도로, 두 지도에 반영된 지리 정보를 통해 그 제작 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해동지도』와 그 내용을 비교해 보면, 「대구부 지도」의 경우 『해동지도』에는 대구 읍성이 그려져 있지 않지만, 『경주도회 좌통지도』에는 읍성이 묘사되어 있다. 대구 읍성은 1736년(영조 12)에 축조된 것으로, 『해동지도』는 그 이전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주도회 좌통지도』는 그 이후의 상황까지를 반영하고 있다.

[형태/서지]

『경주도회 좌통지도』는 경주와 청도를 비롯하여 18개 군현과 경상도 전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이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해동지도』와 유사하며, 고려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상주 도회』[18군현], 『진주 도회』[12군현] 지도첩과 비슷한 계통이다. 지도의 크기는 세로와 가로가 95×73㎝이다.

[구성/내용]

『경주도회 좌통지도』 「청도군 지도」는 지도의 전체적인 구도 및 형식과 내용 면이 1750년대 초반 관찬(官撰)에서 제작된 『해동지도』의 「청도군 지도」와 유사한 군현 지도이다.

지도의 전체적인 구도는 청도군의 읍치를 중심으로 청도군에 속한 13개 면의 상대적인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지도의 상단은 읍치 위쪽으로 진산인 오산(鰲山)이 표시되어 있어, 지리상 남쪽에 해당한다. 진산은 읍치로 이어지고 읍치의 좌우로 중산 구릉과 갈마봉이 갈라져 읍치를 감싸 안는 듯하다. 이러한 모습은 산봉우리를 서로 연결하여 표현한 산맥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청도군 읍지』 기록된 산천조에 따르면 청도 읍지의 풍수적 형국은 신선의 손 모양이며, 또 주산의 형국을 봉황이 날아가는 형상이라 표현하였다. 그리고 지도에 그려진 하천은 밀양강의 상류로, 읍치 북동쪽에 표시된 외서면(外西面)을 제외하고 청도군의 대부분은 밀양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다. 외서면은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청도천 상류에 있던 지역이다.

지도의 중앙에는 실제 청도군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읍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확대되어 그려져 있고, 둘레는 성곽과 성문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대동지지(大東地志)』 기록에 따르면, 성곽의 형태로 그려진 읍성은 1591년(선조 24)에 축조된 것으로 1,570보(步)의 크기이다. 읍성 안에는 객사(客舍)와 아사(衙舍)가 관아 건물 모습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붉은색의 원 안에 ‘청도(淸道)’라고 표기되어 있다. 각 면의 경에 노란색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읍치와 구분하고 있다. 그 외에 청도군에 설치되어 있었던 사창(社倉)과 향교, 자계 서원(紫溪書院)이 표시되어 있으며, 북산 봉대(北山 烽臺)와 남산 봉대(南山 烽臺)의 경우 그 위치에 지명만을 표기하고 있다.

산과 구분하여 읍치 남서쪽에 자리 잡은 낙화암(洛花巖), 공암(孔巖), 입암(立巖)은 암벽의 모습으로 묘사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공암에는 공암원(孔巖院)이 있었다. 공암원에 대해 군의 동쪽 86리에 있으며, 길이 암벽 사이에서 나와서 마치 문 같은데 수십 보가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죽전(竹田)과 율전(栗田)을 표시하여 경지 사용에 대한 정보를 지도에 담고 있다.

지도 상단 여백에 청도군에 관한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주기에는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성곽의 둘레, 상읍내, 차읍내 등 청도군에 속한 13개의 방면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청도군의 호구(戶口) 전결(田結), 곡물(穀物), 군병(軍兵) 등의 항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는 군사적·사회 경제적 상황을 나타낸 각종 지표를 기록한 것으로 당시 청도군의 모습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본 지도에 기록된 호구 수 7,746호는 주목할 만하다. 『해동지도』에 표기된 호구 수는 7,280호이며, 『여지도서(輿地圖書)』[1759년경]는 7,210호, 그리고 『호구 총수(戶口總數)』[1789년경]에는 7,525호로 되어 있어 본 지도에 기록된 호구 수가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의의와 평가]

『경주도회 좌통지도』 「청도군 지도」는 관찬으로 제작된 회화식 군현 지도인 『해동지도』의 전체적 구도와 모습을 원본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호구 등 조세와 관련된 주기 부분에는 차이가 있다. 이는 지형과 같이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지리 정보는 이전 지도를 따르고 호구, 조세와 관련된 통계처럼 변화가 있는 정보에는 지도 제작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주도회 좌통지도』 「청도군 지도」는 18세기 청도군의 규모와 변화 모습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