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535
한자 道淵先生文集板木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915년연표보기 - 『도연 선생 문집』 판목 간행
현 소장처 한국 국학 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원소재지 탁영 종택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145-1지도보기
성격 책판
재질 나무
크기(높이,길이,너비) 47.3㎝[가로]|19.5㎝[세로]|2.1㎝[두께]
소유자 김상인[김해 김씨 탁영 종중]
관리자 한국 국학 진흥원

[정의]

1915년에 제작된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학자인 도연정 김치삼의 시문집 판목.

[개설]

김치삼(金致三)[1560∼?]의 자는 일지(一之), 호는 도연정(道淵亭)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증손자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도학과 문장에 밝았고 덕행이 높았다. 1606년(선조 39)에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사첨시 참봉(司瞻寺 參奉)을 지냈다. 정유재란 때 창의하여 청도군 운문면에서 적과 대결하였으며, 후에 왜와의 청화(請和)에 항의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증조부 김일손의 문집을 발간하였다.

『도연 선생 문집』은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1915년 김치삼의 11대손 김용희(金容禧)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조종필(趙鍾弼)의 서문이 있다. 권1에 부(賦) 9편, 시(詩) 101수, 권2에 소(疏) 1편, 책(策) 2편, 잡저(雜著) 3편, 제문(祭文) 7편, 권3에는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行狀)·묘갈명(墓碣銘)·축문(祝文) 등이 실려 있다.

권2의 「청거왜사소(請拒倭使疏)」는 1606년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현소(玄蘇)·경직(景直)을 사자로 보내 다시 수교를 청했는데, 조신(朝臣)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자 그 해결책을 건의한 것이다. 김치삼은 다른 사신으로 교체해 보내면 수교하겠다는 국서를 보낸 다음, 일본의 반응을 보고 나서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책(策) 중 「병식책(兵食策)」에서는 국가를 다스리는 것은 인재를 얻는 데 있으며, 인재를 얻으면 병력과 재물이 넉넉하게 되어 싸우면 반드시 승리한다고 하였다.

이 밖에도 어진 선비를 등용할 것을 주장한 「유현책(儒賢策)」을 비롯해, 선비의 국난에 대처하는 방법을 말한 「사림처환론(士林處患論)」 등의 논설이 있어, 임진왜란 후의 정치·외교·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형태]

판본의 크기는 가로 47.3㎝, 세로 19.5㎝, 두께 2.1㎝의 사주쌍변(四周雙邊), 유계(有界), 상하백구(上下白口),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로 반엽 10행 20자가 판각되었다. 현재 43장이 남아 있다. 판목의 구성은 조종필(趙鍾弼)의 서문(序文) 2장, 목록(目錄) 5장, 본문 중 권1은 16장, 권2는 8장, 권3은 12장이다.

[특징]

『도연 선생 문집(道淵 先生 文集)』 판목은 뒷면이 비어 있는 것과 훼손판, 삭제판, 보결판, 수정판 등이 있다. 순서 또한 권1의 판목에 권2의 내용이 새겨져 있기도 하고, 권3의 판목은 원판목(元板木)과 보결(補缺)한 판목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이 외에도 장차(張次)가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섞여 있는 판목도 나타난다.

실제 목록의 판목 5장 중 장차(張次) 7과 8은 각기의 1장의 판목에 새겨 넣고, 판목의 뒷면은 비워 두었으며, 권1의 판목 16장 중 5장은 앞면과 뒷면의 장차 순서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 외에도 권1의 장차 9·10·29번의 판목 뒷면에는 권2의 장차 3·4·18번이 판각되어 있다. 권2의 판목은 원래 9장이지만, 장차 3·4번의 판목 1장이 결락되어 8장이 남아 있다.

누락된 장차는 잘못 판각되어 삭제한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는 권1의 판목에 권2의 3·4번이 판각되어 있는 것에서 짐작이 가능하다. 장차 12번의 판목은 마멸과 충해로 심하게 훼손되었다. 장차 18번은 권2의 판목에서는 삭제하고, 권1의 장차 29번 판목 뒷면에 새로 판각하였다. 권3의 판목은 12장 중 5장이 보결(補缺), 수정(修整)한 판목이다. 장차 1·2번, 3·4번, 7·8번, 9·10번 등 4장의 판목은 보결판과 원판(元版)이 모두 보관되어 있으며, 장차 13번은 부분 수정한 판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