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신밟기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908
한자 地神-
이칭/별칭 지신풀이,마당밟기,매구[埋鬼],걸립(乞粒),걸궁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3년 - 「지신밟기 소리」 MBC 라디오에서 김오동에게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2002년 - 「지신밟기 소리」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에 음성 자료로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지신밟기 소리」 MBC 한국 민요 대전 경상북도 편에 수록
채록지 화산리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화산리지도보기
채록지 차산리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지도보기
가창권역 청도군 - 경상북도 청도군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세시 의식요
형식 구분 선후창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지신밟기를 하며 부르는 노래.

[개설]

「지신밟기 소리」는 서낭대를 앞세운 농악대가 정초에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서낭에게 가운을 축원하고 지신을 누르기 위해 부른 세시 의식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지신밟기 소리」김기현과 권오경이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화산리에서 채록하여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에 음성 자료로 수록하였다. 또한 MBC 라디오에서 1993년 김오동[72세, 남,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게 채록하여 1995년에 MBC 한국 민요 대전 경상북도 편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지신밟기 소리」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경상북도 청도군에 전하는 「지신밟기 소리」풍각면화산리차산리에서 각각 전해지는데, 화산리「지신밟기 소리」에는 가정의 평안과 유희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차산리「지신밟기 소리」에는 가정의 평안과 벽사진경(辟邪進慶)[요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기쁨으로 나아감]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어 화산리「지신밟기 소리」에 비해 분량이 길다. 차산리화산리에서 전해지는 「지신밟기 소리」 모두 가정의 평안을 축원하고 있는데, 이는 각 가정에 부정한 요소를 사라지게 하고 좋은 기운이 깃들게 하는 기능을 사설로 구연하는 것이다.

[내용]

1. 「지신밟기 소리」 1

어어루야 지신아아/ 지신아 밟아 주소/ 지신아 밟아 주소/ 어어 그 집 잘 졌다/ 어어 그 집 잘 졌다/ 이 집 지어나 삼년 만에/ 이 집 지어나 삼년 만에/ 아들 건기는 바른 길/ 어어루야 지신아아/ 딸은 헌지랄 지른 길/ 어어루야 지신아아/ 아들 흘기야 놓그들랑/ 어어루야 지신아아/ 한서당에 글을 읽으까/ 어어루야 지신아아/ 소학 대학을 다 가라쳐/ 어어루야 지신아아/ 정성 감사를 맨드라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딸은 인자 놓그들랑/ 어어루야 지신아아/ 경주 부인을 맨들라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이 지신을 밟고 나면/ 어어루야 지신아아/ 저두 소망이리 오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이리저리도 밟아 보면/ 어어루야 지신아아/ 저두 소망을 옵니다/ 어어루야 지신아아/ 일 년하고는 열두 달/ 어어루야 지신아아/ 과연하고는 열두 달/ 어어루야 지신아아/ 삼대하고는 육십 일/ 어어루야 지신아아/ 하루쩍 그치도 넘어가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삼오에다 피는 달아/ 어어루야 지신아아/ 동남풍이 디리부러/ 어어루야 지신아아/ 판금 소리도 살란하다/ 어어루야 지신아아/ 이리저리도 밟아 주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우리가 청년이 되만은/ 어어루야 지신아아/ 내일 청년이 아닙니다/ 어어루야 지신아아/ 젊은찍에 춤을 추고/ 어어루야 지신아아/ 신명 있기 놀아 주소/ 어어루야 지신아아/ 이리저리도 놀고 보면/ 어어루야 지신아아[풍각면 화산리]

2. 「지신밟기 소리」 2

자 이집 성주를 한번 모셔 봅시다/ 에여루 지신아 지신아 밟아 눌라 보자 / 에여라 지신아 모시 보자 모시 보자/ 에여라 지신아 이 집아 성주를 모시 보자/ 에여라 지신아 성주야 본향이 어디던고/ 에여라 지신아 경상도라 안동 땅아/ 에여라 지신아 제비 야원에다 솔씨를 받아/ 에여라 지신아 소평 대평 던졌더니/ 에여라 지신아 그 솔이 점점 자라나여/ 에여라 지신아 황장목이 되였구나/ 에여라 지신아 집이나 한쌍 지여 보자/ 에여라 지신아 앞집이 김대목아/ 에여라 지신아 뒷집에라 박대목아/ 에여라 지신아 연장망태 챙겨 메소/ 에여라 지신아 살매망태 걸러 미고/ 에여라 지신아 갓끈을랑 목에 걸고/ 에여라 지신아 담배야 설대야 허리 꼽고/ 에여라 지신아 가자 가자 찾어가자/ 에여라 지신아 팔도강산을 찾어가자/ 에여라 지신아 팔도강산을 다 댕기도/ 에여라 지신아 까마야 까치야 집을 지어/ 에여라 지신아 부정이 타여 못 씰레라/ 에여라 지신아 상상봉을 올라가니/ 에여라 지신아 눈비 맞고야 키은 나무/ 에여라 지신아 동쪽 끝으로 뻗은 가지/ 에여라 지신아 소톱 대톱 걸어 놓고/ 에여라 지신아 수루룩 수루룩 톱줄이야/ 에여라 지신아 곧은 낭을 베를 치고/ 에여라 지신아 굽은 낭은 배를 처여/ 에여라 지신아 마디마디 궁글 뚧어/ 에여라 지신아 가는 낭근 사목도요/ 에여라 지신아 굵은 낭은 팔목도라/ 에여라 지신아 사목도야 팔목도야/ 에여라 지신아 이 나무를 욍기 주소/ 에여라 지신아 호박아 주치야 유리지동/ 에여라 지신아 서른석 자 대들보에/ 에여라 지신아 웃채도 일만 삼 칸/ 에여라 지신아 아래채도 일만 삼 칸/ 에여라 지신아 쌍무지개 도리 얹고/ 에여라 지신아 시침반을 연목 걸고/ 에여라 지신아 구름으로 산작 얽고/ 에여라 지신아 오색톨랑 알매 얹어/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다/ 에여라 지신아 김대목이 지었는가/ 에여라 지신아 박대목이 지었는가/ 에여라 지신아 대궐 졌던 도대목이/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다/ 에여라 지신아 주인양반 문을 여소/ 에여라 지신아 방치장이나 구경하자/ 에여라 지신아 누야 대보 장판방에/ 에여라 지신아 오동장농 객기수라/ 에여라 지신아 입춘 한 장 써 붙이자/ 에여라 지신아 입춘하고는 대길이오/ 에여라 지신아 천증세월은 인증수라/ 에여라 지신아 춘만하고는 복만가라/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네/ 에여라 지신아 이 집 젔고야 삼 년 만에/ 에여라 지신아 아들딸을 칠형제를/ 에여라 지신아 한 태줄에 점지하소/ 에여라 지신아 금자동아 옥자동아/ 에여라 지신아 내가 너를 길를 적에/ 에여라 지신아 진자리는 내가 눕고/ 에여라 지신아 마른자리 너를 눕혀/ 에여라 지신아 금옥같이 길러다가/ 에여라 지신아 가자 가자 찾아가자/ 에여라 지신아 서울이라야 찾어가자/ 에여라 지신아 경주 서울 첫 서울로/ 에여라 지신아 벼슬문을 들어서니/ 에여라 지신아 과게야 운이 뺃쳤던가/ 에여라 지신아 글 한 자에 과게 했다/ 에여라 지신아 삼정승아 육판사요/ 에여라 지신아 암행어사 점지하소/ 에여라 지신아 이 집 대주 출읍할 때/ 에여라 지신아 동을 가나 서로 가나/ 에여라 지신아 남을 가나 북을 가나/ 에여라 지신아 동서남북을 다 댕기도/ 에여라 지신아 남읏 눈에 잎이 되고/ 에여라 지신아 남읏 눈에 꽃이 되여/ 에여라 지신아 구신아 악담을 다 막아 주소/ 에여라 지신아 일 년하고는 열두 달아/ 에여라 지신아 과연하고 열석 달을/ 에여라 지신아 삼백하고나 육십오 일/ 에여라 지신아 하루 아적 같이도 넹겨 주소/ 에여라 지신아 만복을랑 이 집으로/ 에여라 지신아 잡구야 잡신은 다 물러서자[풍각면 차산리]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지신밟기 는 고사 소리와 풍물놀이를 통하여 지신을 진정시킴으로써 마을과 가정의 평안을 빌며 마을과 각 집을 축제 공간이 되게 한다. 또한 같은 노래를 마을의 가가호호에서 연희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마을 사람들 사이에 결속을 다진다.

[현황]

「지신밟기 소리」는 2009년 청도 토속 민요 경창 대회에서 가창되었다.

[의의와 평가]

「지신밟기 소리」는 각 지신에게 풍년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한다.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전해지는 「지신밟기 소리」 또한 이러한 염원이 담겨 있다. 조상의 얼을 느낄 수 있는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조동일, 『경북 민요』(형설 출판사, 1977)
  • 『청도 군지』 (청도군, 1991)
  • MBC 한국 민요 대전(http://www.imbc.com/broad/radio/fm/minyo)
  •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http://yoksa.aks.ac.kr)
  • 한국 민속 대백과사전(http://folkency.nf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