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현도 역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852
한자 省峴道驛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홍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성현도 역총』 편찬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림동 산56-1
성격 역지
권책 3권
규격 38.2㎝×23.7㎝

[정의]

1871년 성현도에 소속된 각 역의 운영 실태를 기록하여 편찬한 역지.

[개설]

『성현도 역총(省峴道 驛摠)』은 경상도 중요 역도(驛道)의 하나인 성현도에 소속된 각 역의 운영 실태를 기록한 자료이며, 2013년 현재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간행 경위]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각 지역의 행정 단위별로 읍지(邑誌)가 편찬되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교통 행정 단위인 역도를 중심으로 한 역지(驛誌)도 점차 독자적으로 편찬되기에 이르렀다. 당시 편찬된 역지들이 더러 남아 있는데, 『성현도 역지』 또한 그 중의 하나이다. 『성현도 역지』는 역의 지도, 연혁, 인적 구성, 역사 건물, 역마 현황, 역 운영에 대하여 경제적 토대가 되는 다양한 역전(驛田)과 재정 운영에 관한 내용을 꼼꼼하게 기록하여, 정치적·경제적 차원에서 일의 능률을 올리고자 편찬한 역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형태/서지]

『성현도 역총』은 총 3책이 남아 있고, 크기는 38.2㎝×23.7㎝이다.

[구성/내용]

성현도란 청도 관내에 종6품의 찰방을 파견하여 인근 역까지 관장하던 곳을 말한다. 1871년(고종 8)에 편찬되었던 『영남 읍지』 속에 『성현도 역지』가 처음 수록되었고, 그 후 1895년 갑오개혁을 전후하여 읍지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역지가 편찬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호남 역지』, 『영남 역지』, 『관서 역지』, 『관북 역지』 등이 있다.

『영남 역지』는 2책으로 편찬되었는데 1책에 ‘성현도 십사 본 각 역 사례 책(省峴道十四本各驛事例冊)’이 수록되어 있다. ‘역 사례’는 역의 운영 사항을 자세히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통칭하여 ‘성현도 역지’라 부를 수 있겠는데, 역의 지도와 연혁을 비롯하여 역리와 역노비를 비롯한 인적 구성, 역사 건물, 역마 현황, 역전과 재정 운영에 관한 내용들이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현재 남아 있는 영남 지방의 역지를 대표하는 것이 『성현도 역총』이다. 제1책은 성현역의 재정 규모와 운영을 다루고 있으며‚ 제2책은 ‘본 각 역 삼등마화모색 성책(本各驛三等馬禾毛色成冊)’이라는 제목대로 각 역마다 말의 수와 종류 및 담당자를 기재하고‚ 제3책은 ‘본역체등중기책 금교(本驛遞等重記冊 金郊)’라는 표제로 관아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 내용을 적어 놓았다.

각 책의 표지에 나온 성립 연대를 살펴보면, 제1책은 신사년(辛巳年)‚ 제2책은 경술년(庚戌年)‚ 제3책은 1843년[계묘년]으로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1책은 「원차전배삭(元差錢排朔)」‚ 「□□차지(□□次知)」‚ 「무저식(貿楮式)」‚ 「대전식(代錢式)」‚ 「부호전배정기(復戶錢排定記)」 등 역의 재정 운영에 관한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출납‚ 이자‚ 물품 내역과 가격‚ 담당 기관 및 절차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성현도의 관할 범위는 대구, 합천, 밀양 등 경상도 대부분 지역이 해당되며, 『성현도 역총』에 기재된 물품은 곡물‚ 가축‚ 포목‚ 가죽‚ 종이‚ 기름 등 매우 다양하다.

제2책은 본역(本驛)·신은역(新恩驛)·광정역(廣程驛)·일신역(日新驛)·평천역(平川驛) 등에 소속되어 있는 상등마 21필, 중등마 69필, 하등마 55필 총 145필의 담당자와 고라(古羅)·가라(加羅)·적다(赤多) 등 말의 종류를 기재하였다.

제3책에서는 공방(工房)·매마(買馬)·진휼(賑恤)·평혜(平惠)·상채고(償債庫) 및 작대청(作隊廳) 등의 보관 물품과 재정 상태를 알 수 있는데, 각 창고의 성격에 따라 서책‚ 생활 용품‚ 무기류, 악기류 등 보관 물품의 내용이 다르며, 관아 각 건물의 크기와 문의 수도 적혀 있다. 마지막에는 각종 안(案)과 적(籍)‚ 절목(節目) 등의 제목과 권수를 표시해 놓았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 교통 통신의 중심인 역참 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