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산1리 마을회관 을 조금 지나 오른쪽으로 나 있는 농로를 따라 500m정도 더 들어가면 승주골이 나온다. 이곳은 훌륭한 사람들이 살았던 곳이라 하여 오래전부터 성주골[聖住洞]로 불리었다. 그런데 성주골은 지명에 걸맞게 2대에 걸쳐 11명의 교사를 둔 집안이 있어 눈길을 끈다. 내산리는 집집마다 선생님이 없는 집이 없을 정도로 교사를 많이 배출한 마을이긴 하지만...
내산리에 가장 화목한 집으로 소문난 임일순 가를 찾아 갔다. 우리 마을에서는 가장 손을 안댄 집일 거라는 마을사람들의 귀뜸이 있었다. 이 집은 1920년대 내산리 최고의 목수였던 박지우라는 사람이 지었는데 90여년이 지난 지금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다만 오래된 기와지붕에서 비가 새어 지붕만은 함석으로 깔아놓은 상태이다. 내부 구조는 방이 두개에 재래식 부엌...
내산리에는 허임의 12세손인 허은 씨가 살고 있다. 그는 갓 군대를 제대한 젊은 시절부터 동네 이장을 맡아 오면서 마을 안길 사업과 농지정리, 마을 확·포장 사업에 전력을 다해 묵묵히 일해 온 내산리의 숨은 일꾼이었다. 또한 부전대동계의 일원으로 궂은일을 도맡아 해오면서도 항상 조상에 대한 송구한 마음을 간직하고 있는 우직한 인물이다. 하양 허씨들은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농촌의 현실은 전통적인 벼농사만으로는 살아가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오히려 신토불이라는 힘찬 구호가 무색하리만큼 농촌의 현실은 어렵기만 하다. 그럼에도 1980년대 초 한우 한 마리로 시작해서 지금은 한우농장을 일궈낸 사연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내산 1리의 이장을 맡고 있는 김승태씨는 제대를 앞두고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국방의 의무를 마치고 전역...
사람은 누구나 다시 돌아갈 곳이 있다. 엄마 뱃속에서 태어나서 성장하고 각각 걸어가야 할 인생의 기나긴 여정을 치르고 난 후에 죽음을 맞이하여 땅 속으로 묻히게 된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부터 유교를 숭상하는 국가적 형태를 지니고 있었고 거기에서 전해오는 관혼상제를 중요시하는 생활상이 펼쳐져 오늘날까지도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관혼상제의 의례 중에서 가장 엄숙하고...